高利 무서움 모르고 급전 대출… 돌려막기하다 신용불량자로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3월 21일 03시 00분


코멘트

[20代 금융이해력 낙제점]<上>사회 진출하기도 전에 빚더미

지난해 7월 제대한 이모 씨(23)는 자유를 만끽하며 한동안 친구들과 술자리를 즐기다 보니 어느새 용돈이 바닥났다. 지방에 계신 부모에게 손을 벌리기엔 염치가 없었다. 친구가 자신도 한 번 급전을 써봤다며 한 대부업체를 추천했다. 금리가 연 34.9%에 달했지만 100만 원을 빌렸을 때 한 달에 3만 원을 이자로 내는 것쯤은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곧 취업하면 돈도 생기겠지.’

그러나 매달 3만 원의 이자는 생각보다 컸다. 부모가 부쳐준 용돈을 아껴 봐도 막상 이자를 낼 때가 되면 수중에 돈이 모자라는 일이 반복됐다. 친구들한테 조금씩 돈을 빌리는 것도 하루 이틀이었다. 이 씨는 같은 대부업체에서 100만 원을 추가로 대출받아 급한 불을 꺼보려 했지만 대출 원금만 불어날 뿐 상황은 악화되기만 했다. 그는 “당장 눈앞의 이자만 생각한 나머지 ‘돌려막기’를 하면 갚아야 할 빚만 늘어난다는 사실은 까맣게 몰랐다”고 후회했다.

기초적인 금융지식이 부족하다 보니 경기 침체와 구직난 속에서 순식간에 빚더미에 앉는 20대가 증가하고 있다. 생활고에 빠진 대학생들은 고금리 대출의 무서움을 모르고 급전을 빌리다 사회에 첫발을 내딛기도 전에 금융채무불이행자(신용불량자)로 전락하는 일도 있다. 취업에 성공한 사회 초년생들도 투자의 기본원리를 무시한 채 고위험 금융상품에 손을 댔다 막대한 손실을 보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 금융 문맹 20대는 대부업체의 먹잇감


최근 한국금융투자자보호재단의 ‘금융 이해력 조사’ 결과를 보면 한국의 20대는 돈을 어떻게 모으고, 지키고, 운용해야 하는지를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당수의 20대가 기초적인 경제지식이나 투자원리에 대한 이해가 떨어졌다. 질문별로 보면 ‘여러 자산에 투자자금을 분산할 경우 투자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문항에 46%만이 정답(○)을 맞혔다. ‘물가 상승이 기대되는 경우 실질 이자율은 감소한다’는 문항에도 20대가 정답(○)을 맞힌 비율은 33%에 불과했다.

금융지식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 낮았다. 개인신용평가회사 코리아크레딧뷰로(KCB)가 올해 2월 대학생 587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대출금리와 직결되는 신용등급의 중요성을 묻는 질문에 25.8%는 ‘보통’ 또는 ‘중요하지 않다’라고 응답했다. 학교에서 제대로 된 금융교육을 받아본 적이 없는 데다 금융거래 경험도 부족한 데서 비롯된 결과다. 체크카드를 사용하는 등의 기본적인 금융활동조차 해보지 않았다는 답변도 절반 이상(50.1%)이었다.

대부업체와 저축은행들은 이처럼 금융지식이 떨어지는 20대를 겨냥해 공격적 영업을 펼치고 있다. 이들은 ‘쉽고 빠른 대출이 가능하다’는 광고를 앞세워 ‘대학생론’ ‘병장론’ 등의 20대 전용 상품을 내놓고 있다. 젊은층의 방문 빈도가 높은 각종 포털 사이트에서도 이런 대출 관련 용어는 검색어 상위에 랭크돼 있다. 전문가들은 일정한 수입이 없어 은행 문턱을 넘기 쉽지 않은 20대가 상대적으로 접근이 용이한 저축은행이나 대부업체의 1차 표적이 되고 있다고 우려한다. 강형구 금융소비자연맹 금융국장은 “20대를 위한 금융상품이 부족한 상황이라 상당수가 고금리 대출로 내몰리고 있다”며 “20대들은 금리 30%가 얼마나 높은 수준인지를 모르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 무심코 고위험 투자에 달려드는 사회 초년생

고금리의 무서움을 잘 모르는 20대는 저축은행이나 대부업체에 한번 걸려들었다가 순식간에 신용불량의 꼬리표를 달 수 있다. 신용회복위원회에 따르면 빚을 도저히 감당하지 못해 개인 워크아웃을 신청한 20대가 지난해 총 8023명으로 2014년(6671명)보다 20.3% 증가했다.

투자 경험이 부족한 20대는 고금리 대출의 유혹뿐 아니라 투자 손실 위험에도 고스란히 노출돼 있다. 갓 직장생활을 시작한 김모 씨(26)는 최근 주가연계증권(ELS)에 투자했다가 마음을 졸이고 있다. 점심시간에 은행을 찾았다가 “손해 볼 가능성이 낮다”는 은행 직원의 말에 어떤 상품인지도 제대로 모르고 덜컥 500만 원을 투자한 게 실수였다. 대학생 최모 씨(21)는 “솔직히 신용등급 체계가 1∼10등급으로 나뉜다는 것도 최근에서야 알았다”며 “코스닥과 코스피의 차이도 모르는 대학생이 많다”고 말한다.

KCB 손승호 차장은 “중장년층과 달리 20대는 금융거래 기록이 적기 때문에 연체가 발생하면 바로 신용등급이 추락하는 경향이 있고 이를 회복하기도 쉽지 않다”며 “20대 스스로 고금리 대출이나 금융투자에 대해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장윤정 yunjung@donga.com·황성호 기자
#20대#금융#대출#신용불량#청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