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엔 ‘1인 가구’가 대세…세 집 중 한 집은 1인가구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1월 8일 16시 05분


코멘트
2030년에는 세 집 중 한 집이 '1인 가구'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 중 절반가량은 노인 1인 가구로 예상됐다. 고령화 시대를 대비하는 주택·복지 정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한국국토정보공사(LX)가 공개한 '대한민국 2050 미래 항해' 보고서에 따르면 1인 가구 비율은 2030년에 32.4%(724만 가구), 2050년에 34.6%(763만 가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보고서는 국토교통부와 통계청의 주택·인구 통계를 미래 예측 기법인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통해 분석한 것이다.

1인 가구 중에서는 노인 1인 가구가 가장 가파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115만 가구이던 노인 1인 가구는 2030년 325만 가구, 2050년 429만 가구로 늘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2050년의 경우 전체 1인 가구의 절반을 넘는 56.2%가 노인가구로 추정됐다.

1인 가구 비율은 도시보다는 농어촌지역이 더 높았다. 경북(2050년 기준·43%)과 충북·충남·전남(41%) 등은 40%를 넘었지만 울산(29%) 인천(32%) 대구(33%) 등 대도시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서울(35%)은 전국 평균과 비슷했다.

문제는 증가 추세인 1인 가구의 상당수가 소득 수준이 낮다는 점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7~9월) 전국 맞벌이 외 가구의 평균 소득은 371만 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377만 원)보다 1.6% 줄었다. 1년 전과 비교해 이들 가구의 소득은 3분기 째 감소했다. 이들 가구 소득이 1년 전 대비 3분기 연속 줄어든 것은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3년 이후 처음이다.

주택 공급은 늘지만 인구는 감소하면서 빈집 문제가 심각해질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됐다. 2015년 1959만 채이던 주택 수는 2050년 2998만 채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주택보급률은 104%에서 140%까지 치솟을 것으로 추정됐다. 반면 인구는 2030년 이후 감소세로 돌아설 전망이다.

이에 따라 빈집수는 2015년 84만 채에서 203년 128만 채, 2050년에는 302만 채로 늘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2015년 빈집 비율이 7.8%이던 전남은 2050년에는 25.4%까지 오를 것으로 분석됐다.

이미 일본에서는 빈집 문제가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됐다. 2013년 13.5%(820만 채)였던 빈집 비율이 2023년 21%(1397만 채)까지 오를 것으로 우려된다. 국토정보공사는 "빈집 증가 추세에 대비해 폐가 정비 비율을 높이는 등 주택 정책을 재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성민 기자 mi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