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SNS에서는]북한 인터넷이 끊기자 종북 댓글도 줄었다?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12월 26일 03시 00분


코멘트
“북한 인터넷이 끊기니까 우리 포털 뉴스 댓글이 확 달라졌대!”

크리스마스를 앞둔 23, 24일 북한 인터넷이 이틀 연속 잇따라 접속 중단됐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는 이런 주장이 파다하게 퍼졌습니다. 그동안 ‘북한 사이버전사’가 국내 포털 뉴스에 과격한 욕설을 담은 반정부 혹은 친북 성향의 댓글을 달며 여론조작을 일삼아 왔는데 북한 인터넷이 끊기면서 사이버공작이 중단됐다는 겁니다. 이런 주장은 평소 인터넷 뉴스 댓글 중 차마 입에 담기 힘든 욕설이나 친북 성향 댓글들이 수천 개의 추천을 받는 광경을 종종 봐왔기에 어느 정도 설득력이 있어 보였습니다.

미국 인터넷 보안업체에 따르면 북한 인터넷은 23일 오전 1시∼11시 40분 사이에 접속이 끊겼다가 복구된 뒤 24일 0시 40분부터 1시간가량 더 막혔다고 합니다. 일부 누리꾼은 똑같은 포털에 북한 인터넷이 끊기기 전 올라온 뉴스와 끊긴 이후의 뉴스에 달린 댓글을 비교하며 북한 사이버전사가 실존한다는 주장도 합니다.

같은 포털에서도 정치나 북한 기사에 달리는 댓글이 북한 인터넷 차단을 전후로 성향이 달라지고 댓글 수가 확연히 줄었다며 여러 증거를 제시합니다.

예를 들면 한 포털에 북한 인터넷이 끊기기 전인 23일 0시에 올라온 ‘새누리당이 최근 정당이 해산된 통합진보당 인사의 보궐선거 출마를 금지하는 법안을 추진한다’는 기사에는 “가짜 종북놀이로 불난 집에 부채질만 하는 대역적무리 저그(저들) 조국 일본으로 추방해야 국민이 산다”(추천 4300개, 반대 350개·이하 25일 오후 3시 기준) “북풍을 수도 없이 정권 연장에 이용하던 집단아 너들의 과거는 더 추악하다”(추천 1630개, 반대 110개) 등의 댓글이 압도적인 추천을 받았습니다.

반면 북한 인터넷이 끊긴 상태인 23일 오전 5시 48분에 올라온 ‘유엔 안보리가 북한 인권을 정식 안건으로 다룬다’는 기사에는 “북한 인권은 21세기에 이뤄질 수 없는 일이다. 북한 주민은 사육당하고 있다. 정권을 무너뜨려야 한다”(추천 609개, 반대 75개) “북한을 찬양하는 놈들 북한에 넘어가라”(추천 466개, 반대 134개) 등의 댓글이 최다 추천으로 꼽혔다는 겁니다.

북한 사이버전사가 정말 대한민국 포털 뉴스에 반정부나 친북 성향의 댓글을 달며 여론을 선동하는지는 명확한 증거가 없기에 확신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북한 영토 안에서 댓글을 달더라도 프록시 서버를 통해 인터넷주소(IP)를 세탁하면 얼마든지 접속 국가를 변경할 수 있기에 이론적으로는 충분히 가능합니다. 일부 포털은 실명 인증 없이 이메일 주소만으로도 회원 가입을 할 수 있습니다. 실체가 확인된 건 아니지만 북한 사이버전사 3000∼6000명이 조직적으로 사이버전쟁을 펼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보통 누리꾼들은 포털에서 뉴스를 읽고 난 뒤 가장 많은 추천을 받은 댓글을 보며 여론을 짐작합니다. 최다 추천 댓글이 자기 생각과 다른 견해일 때 처음엔 거부감이 들겠지만 이런 상황이 계속되다 보면 ‘내가 대세를 모르는 건가’라는 생각을 한 번쯤은 해볼 겁니다. 그렇기에 일부에서는 입맛에 맞는 댓글을 쓰고 조직적으로 추천하길 반복하면 여론을 조작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인터넷 뉴스 댓글은 추천 1000여 개면 상위권으로 올라가기에 100여 명이 계정 10여 개씩만 돌리면 그리 어렵지도 않습니다.

만약 댓글 조작이 이뤄진다면 이건 북한만의 전유물은 아닙니다. 국가정보원도 지난해 여러 사이트에 친정부·반북 성향의 댓글을 조직적으로 달아 온 사실이 알려져 여론의 뭇매를 맞았으니까요. 사실 각 정당에서 선거철마다 인터넷에 자신에게 유리한 글을 조직적으로 쓰는 것도 공공연한 비밀입니다. 성향이 다른 인터넷 커뮤니티 이용자끼리도 서로의 주장을 확대재생산하기 위해 정쟁이 붙은 사안을 다룬 뉴스에 경쟁적으로 댓글을 달기도 합니다.

하지만 ‘인터넷 여론조작’은 별다른 실효가 없다는 게 중론입니다. 일생에 걸친 경험으로 형성되는 개인의 가치관이 댓글 몇 개 본다고 그리 쉽게 바뀌지 않기 때문입니다. 선거 때마다 확인하는 사실이지만 인터넷 여론과 실제 투표 결과도 대부분 들어맞지 않습니다. 온라인에서는 압도적인 지지를 받지만 실제 득표는 저조해 ‘인터넷 대통령’에 그치는 정치인도 종종 있습니다. 만약 수십∼수백 개의 국내 포털 계정을 이용해 번갈아가며 댓글을 다는 북한 사이버전사가 실존한다면 이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아이고∼ 의미 없다!”

조동주 사회부 기자 djc@donga.com
#북한 인터넷#종북#댓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