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보다 무서운 가짜뉴스[김세웅의 공기 반, 먼지 반]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9월 23일 03시 00분


코멘트
일러스트레이션 서장원 기자 yankeey@donga.com
일러스트레이션 서장원 기자 yankeey@donga.com
김세웅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김세웅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유학생 시절 막 결혼을 하고 아내의 학교와 내가 다니는 학교가 멀리 떨어져 있어 하루 왕복 200km의 통근을 운전으로 하던 2005년 8월 말, 멕시코만에 인접한 도시 뉴올리언스에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상륙했다.

카트리나 이전과 이후 유학생이 느낀 미국은 완전히 달라졌다. 우선 멕시코만에 집중되어 있는 정유시설의 파괴로 기름값이 50% 이상 올라 주머니가 매우 얇아졌다. 더 나아가 세계 최강국이라고 불리는 나라에서 미처 대피하지 못해 죽은 사람들의 유해가 길거리에 방치되어 있는 모습이 뉴스채널을 통해 여과 없이 노출돼 그 충격은 비단 나뿐만이 아니라 세계에 전해졌다.

대략 이즈음부터 내가 공부하던 넓은 범주의 대기과학이 사회적, 정치적 쟁점이 된 것으로 기억한다. 태풍, 허리케인과 같은 열대 해상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열대성 폭풍은 늘 있어 왔지만 과연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양의 온도 상승이 평균적인 열대성 폭풍의 강도를 키웠느냐는 과학적인 의문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적어도 칼럼 연재 이전까지 나는 사회적 접촉을 피하려는 쪽에 더 가까웠다. 요즘 말로 인플루언서들의 개인적인 정치적 견해가 과학자 사회 전체의 의견인 것처럼 사회에 비치는 것이 불편했고 더 나아가 연구자 커뮤니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인이 원하든 원하지 않든, 더 중요하게는 본인이 준비가 되었든 그렇지 않았든 사회의 관심이 특정 분야에 쏠리게 되면 논란의 한 중심에 한순간에 빠져드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미국 조지아공대 주디스 커리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은 카트리나가 미국을 강타한 직후인 그해 9월 과학 잡지 사이언스에 35년간의 자료 분석을 통해 열대 대서양의 수온상승과 허리케인 강도의 상관관계를 발표한다. 즉,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온도 상승이 허리케인을 평균적으로 더 강하게 만들었음을 증명한 것이다. 카트리나가 지나간 바로 2주 뒤 발표된 이 논문은 즉시 대중의 관심을 받았고 커리 교수는 많은 방송 인터뷰에 출연한다.

짧게는 수개월 길게는 1년이 넘게 걸리는 논문의 심사 기간을 생각할 때 카트리나가 지나간 시점과 논문의 발표 시점은 우연의 일치였고, 연구팀은 무방비로 언론에 노출되었다. 커리 교수는 당시 자신의 과학적 신념과 다르게 모든 열대성 폭풍이 지구온난화 때문에 생겼다는 극단적 견해로 연구가 곡해되었던 것이 안타까웠다고 자신의 블로그에 회고했다. 즉 평균적인 열대성 폭풍의 강도가 강해지는 현상은 통계적인 평균이기 때문에 단지 열대성 폭풍이 지나갔고 피해가 일어났다고 해서 이것이 모두 지구온난화 때문이라고 해석하는 것은 과장이라는 것이다.

필자가 대기화학이라는 학문을 대학생으로 처음 접했던 1990년대 중반 우리나라의 대기오염 관련 물질 관측 자료들을 살펴보면 지금의 대기오염 상황보다 훨씬 나빴음을 어렵지 않게 알아볼 수 있다. 하지만 당시만 해도 대기오염에 관한 논의는 그저 학자들 사이에서나 이루어졌던 현상이었다.

물론 대기오염물질 배출이나 농도는 전반적으로 줄어들었지만 아직 건강한 수준의 대기 질을 유지하고 있지 못하고 있음은 기억해야 할 필요가 있다. 2010년대 중반으로 접어들면서 미세먼지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폭발하면서 정치, 경제, 사회의 담론에서 대기오염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아진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초기의 사회적 관심을 관련 학자 커뮤니티, 사회적 담론의 인플루언서들, 그리고 언론들은 거의 무방비 상태의 패닉 모드에서 받아들였다. 결과적으로 정리 안 된 생각들이 중구난방으로 보도되고 사회관계망을 통해 퍼져나갔다.

미세먼지 문제가 사회적 담론이 된 지 5년 정도가 된 지금 언론이나 학자 커뮤니티에서는 상당히 합리적인 목소리를 내는 것으로 평가되지만 이제는 정치권에서 미세먼지로 관심과 표를 끌려는 비합리적인 해결책들이 터져 나와 우려된다.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은 기후변화에 대한 인터뷰에서 몇몇 미 보수 정치인들의 지구온난화 부정에 대해 “만약 99명의 의사가 암 선고를 내리고 1명이 암이 아니라고 한다면 당신은 그 1명을 믿고 아무것도 안 하겠습니까? 과학계의 지구온난화에 대한 증거는 확실합니다”라고 답했다. 미세먼지 철이 다가오는 가을로 접어드는 즈음, 가급적 독자 분들은 사회관계망에 떠도는 한두 개의 귀가 솔깃한 괴담에 의존하지 말고 조금 시간이 들더라도 다수의 주류 과학자들의 평가들에 귀를 기울여주시고 정치인들의 정책을 평가해주길 바란다.

김세웅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미세먼지#가짜뉴스#대기오염물질 배출#지구온난화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