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가들 숭고한 희생 없었다면 대한민국이 있었을까”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2월 29일 03시 00분


코멘트

[2019 3·1운동 임정 100년, 2020 동아일보 창간 100년]
3·1운동 100년 역사의 현장 2부 <제94화·끝>

1919년 4월 1일 강원 횡성 장터에서 벌어진 만세시위는 강원도 내에서도 가장 격렬했던 것으로 평가받는다. 지난해 횡성군에서 열린 3·1운동 100주년 기념행사에서 일제의 저격에 맞서 만세를 불렀던 군중을 재현했다. 횡성문화원 제공
1919년 4월 1일 강원 횡성 장터에서 벌어진 만세시위는 강원도 내에서도 가장 격렬했던 것으로 평가받는다. 지난해 횡성군에서 열린 3·1운동 100주년 기념행사에서 일제의 저격에 맞서 만세를 불렀던 군중을 재현했다. 횡성문화원 제공
1919년 3월 1일. 일제강점기 일본에 빼앗긴 국권을 되찾기 위해 민족 전체가 한목소리로 외친 3·1만세운동. 이 역사적 함성은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그리고 지금의 대한민국에 어떤 의미일까.

“100년 전의 3·1운동은 한민족의 강한 정체성, 나아가 민주주의 의식을 국내외에 과시한 ‘한국적 굴기(굴起)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다. 3·1운동은 종교 신분 성별 지역 등을 초월해 모든 한국인이 한마음으로 뭉쳐 일으킨 민족운동으로, 세계 역사에서도 그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다.”(이종찬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건립위원회 위원장)

“3·1운동은 우리 역사의 화수분이다. 기억하는 사람에 따라 매우 다양한 모습을 하고 있어 한마디로 표현하기 어렵다. 3·1운동은 운동에 참가한 사람들이 살아가고 있던 삶의 현장에서 일어났다. 그들에게 독립만세시위는 구체적인 생활의 연장이었다.”(신주백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소장)

동아일보는 2018년 3월 1일부터 이달 22일까지 93화에 걸쳐 보도한 ‘3·1운동 100년 역사의 현장을 가다’ 시리즈를 게재했다. 국내외 현장을 일일이 방문해 문서 등 자료들을 찾아보고, 지역 사학자와 현지 주민들의 증언 등을 취재했다. 이 과정에서 3·1운동이 한국인의 생활과 가치관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재확인했다. 독자들도 “100년 전 상황을 어제 일처럼 생생하게 느낄 수 있어서 놀라웠다”(충남 천안의 한 시민) “내가 생활하는 동네에 역사의 현장이 있다는 것을 몰랐다”(수도권의 한 시민)는 뜨거운 반응을 보내왔다.

○ 지금도 살아 숨쉬는 3·1운동의 역사


93화에 걸친 3·1운동 보도 가운데엔 그동안 학계와 국내 언론에서 미처 주목하지 못한 사실이 적잖았다. 그 가운데 하나가 중국 상하이의 비밀 독립운동 결사체인 ‘동제사’(1∼3화)였다. 3·1운동 준비 과정에서 동제사는 신한청년당과 함께 큰 역할을 했고, 동제사 수장 신규식과 파리강화회의 특사 김규식이 프랑스어로 작성한 독립청원서를 작성한 사실은 국내 언론에서는 최초 보도였다. 3·1운동의 도화선이 된 것으로 평가받는 ‘2·8독립선언’(1화)이 거행된 장소를 찾아내고, 한국 무력독립투쟁의 원천지로 일컬어지는 서간도 신흥무관학교(27화)가 현지 거주 한인들로부터 모은 자금으로 무장투쟁 독립운동가들을 양성해 낸 사실도 이번에 처음 공개됐다.

일부 보도는 지역 전문가와 지역 주민들의 제보를 통해 만들어지기도 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경기 용인 만세운동(22화)이다. 이는 용인시의 지역 소모임 주민들이 향토사를 공부하는 과정에서 찾아낸 용인 지역 독립운동가 16명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데, 정부의 공식 독립유공자 기록에는 누락돼 있던 것이었다. 3·1운동에 단군을 받드는 ‘대종교’ 측이 깊숙이 관여했음을 보여주는 곡성·담양 만세운동(83화)도 제보를 통해 발굴할 수 있었다.


그동안 국내 언론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다뤄졌던 여성 독립운동가들의 활약상도 비중 있게 담았다. 경기 수원 기생 만세운동(16화)을 시작으로 개성(당시) 출신의 여성 4인방이 주도한 개성 만세운동(17화), 대구 신명여학교 만세운동(29화) 등 모두 15차례에 걸쳐 여성 독립 운동가들의 이야기가 소개됐다. 이는 전체 93화 가운데 16%에 달하는 수준이었다.

○ 100년 전 역사를 되짚은 3년의 대장정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는 “3·1운동은 우리 민족의 국가 의식을 한 차원 높인 역사적 사건”이라며 “3·1운동 이전 개인과 가정에 머무르던 생활 단위가 3·1운동 이후 민족과 국가로 확대됐으며 이로 인해 만들어진 국가 의식은 한국의 근대사를 이루는 주축이 됐다”고 말했다.

100년 전 역사적 사건을 찾아 떠나는 본보 시리즈의 대장정은 3·1운동 100주년을 1년 앞둔 2018년 3월부터 시작됐다. 1부(1∼14화)는 3·1운동의 배경과 전반적인 상황을 보여줄 수 있는 움직임에 초점을 맞춰 주 1회 또는 격주로 보도됐다. 2부(15∼93화)에서는 교과서 등에서 담지 못한 3·1운동의 보다 많은 이야기들이 주를 이뤘다. 특히 그동안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지역 독립운동에 초점이 맞춰졌다. 매년 3월 1일이 되면 지역마다 다채로운 행사가 열리지만 1919년 당시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를 제대로 아는 이가 많지 않다는 점을 고려해서다.

100년 전 일들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현장 취재에 앞서 국립중앙도서관, 독립기념관, 국사편찬위원회 등의 독립운동 관련 데이터베이스와 옛 서적들에 대한 방대한 조사가 이뤄졌다. 북한을 제외하곤 취재지역은 무조건 현장 답사를 한다는 원칙에 따라 일주일 이상의 사전 취재와 1박 2일의 현장 취재가 병행돼야 하는 곳도 적잖았다. 해외의 경우에는 2, 3개월에 걸친 자료 조사와 사전섭외 작업이 이어졌다. 이 과정에서 지방자치단체와 3·1운동 관련 단체들은 협조를 아끼지 않았다.

그 결과 △서울 경기 인천 19곳 △전라 광주 제주 11곳 △충청 9곳 △강원 4곳 △경상 부산 대구 울산 20곳 등이 소개됐다. 2019년 2월에는 2·8독립선언 100주년을 맞은 일본 도쿄와 오사카 상황을, 올해 1월부터는 미국 러시아 중국 유럽 등 해외 독립운동 상황 등이 증언과 자료를 통해 생생하게 재구성돼 소개됐다. 한반도 전역에서 독립운동이 일어났던 만큼 북한의 대표적인 독립운동 지역 6곳도 다뤄졌다.

전국 각지에서 전개된 3·1운동 현장은 지역적 특성을 그대로 반영한 경우가 많았다. 주변이 온통 산으로 둘러싸인 지역에서는 산상 봉화 시위가, 바다 혹은 강이 인접한 지역에서는 선상 시위가 함께 전개됐다. 이 외에 도심과 야산을 오가는 게릴라식 시위, 군대식 체제를 갖춰 이웃 지역과 연대한 시위 등 다양한 시위가 이어졌다.

한시준 단국대 명예교수는 “동아일보는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2년여 동안 3·1운동의 현장을 답사하고, 연구 성과 검토와 후손들을 인터뷰하는 대장정을 벌였다”며 “100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었고, 그 결과는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했다.

○ 뜨거운 반응에 웃고, 서글픈 현실에 눈물짓고


경기 파주시에 사는 한 60대 독자는 ‘파주 3·1운동(37화)’의 기사를 본 후 편집국으로 전화를 걸어와 “고향에서 수십 년을 살아오면서 우리 지역에 이런 3·1운동 역사가 있는 줄 몰랐다”며 “지역에 대한 자부심을 갖게 돼 감사하다”고 말했다. 경기 화성 제암리 학살사건(28화)편은 인터넷 조회수가 100만 회를 넘었다.

취재진은 대부분 독립운동가 후손들이 처한 현실을 보고 뜨거운 눈물을 쏟아낼 수밖에 없었다. 경남 창녕의 만세운동(61화)을 주도했던 김추은 지사의 손자 상현 씨는 “평생 독립운동을 한 할아버지가 남긴 유산은 빚뿐이었다”고 말했다. 수원 만세운동(15화)을 주도한 김노적 지사의 아들 지형 씨가 “아버지가 만세운동을 하고 감옥에서 풀려난 후 독립운동을 하러 중국으로 건너간 사이 가족 생계를 책임진 어머니는 먹을 것이 떨어지면 이웃집에 동냥을 다니며 어린 4남매를 키우셨다. 생활이 너무 어려워 막내 여동생을 보육원에 맡겨야 했다”고 회고했다. 수감 기록이나 사진과 같은 증빙 자료가 없다는 이유로 독립운동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사례도 적잖았다.

안영배 논설위원 ojong@donga.com·성동기·김지영 기자
#3·1운동 100년#독립운동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