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 보는 文대통령 신년 기자회견…‘평화·경제’에 방점

  • 뉴시스
  • 입력 2020년 1월 13일 15시 39분


코멘트

간단한 인사말 뒤 본격 질의 응답…신년사 분리해 회견에 집중
정치·안보·경제 등 3개 분야 질문…文대통령 90분 간 직접 진행
北, '5대 제안' 맹비난 속 신뢰 회복 구상 관심…경제 활력 방안도
靑 "대통령, 국정 전 분야 소상히 설명 희망…경제·평화 집중 대비"

오는 14일 취임 후 세 번째 맞이하는 문재인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은 크게 ‘평화·경제’라는 두 가지 키워드로 채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남북관계 회복을 통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국민이 체감하는 경제 활력이라는 2가지 큰 축을 토대로 신년사에서 제시했던 ‘확실한 변화’ 비전을 구체화할 것으로 관측된다.

문 대통령은 지난 9일 포항 규제자유특구 투자 협약식 참석을 끝으로 공개 일정을 생략한 채 신년 기자회견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주말 포함 나흘 간 각 비서실에서 만든 분야별 예상 질문을 토대로 회견 준비에 전념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13일 뉴시스와 통화에서 “이번 신년 기자회견은 7일 신년사에서 밝혔던 ‘확실한 변화’라는 기조 아래 국민들께 각종 현안에 대한 대통령의 구체적인 생각을 진솔하게 밝히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자회견은 오전 10시 청와대 영빈관에서 90분 간 진행된다. 내·외신 출입기자 200여명이 참석한다. 지난해와 같은 ‘타운홀 미팅’(town hall meeting) 방식으로 진행된다. 문 대통령이 질문자를 지명하고 복수 질문도 허용된다.

지난해엔 먼저 25분 가량의 신년사를 발표한 뒤 신년 기자회견에서 질의 응답을 이어가는 형태로 진행됐었다. 신년사와 신년 기자회견이 이어지면서 메시지 전달 효과가 반감됐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번에는 문 대통령의 간단한 인사말 이후 본격적인 기자회견으로 들어가 메시지의 밀도를 높이겠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이를 위해 앞서 지난 7일 신년사를 분리해 발표했다.

문 대통령은 ▲정치·사회 ▲외교·안보 ▲민생경제 등 크게 3가지 카테고리로 나눠 각 20~25분씩 각 주제에 해당하는 질의 응답 시간을 분배할 예정이다. 어떤 분야를 먼저 다룰지는 대통령의 선택에 달렸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분야별 질문에 대한 과도한 시간 초과 등 기자회견이 매끄럽지 않게 진행될 경우 적절히 개입하는 보조 진행자 역할을 담당할 예정이다.

이번 기자 회견에서는 문 대통령이 신년사에서 밝힌 남북관계 회복을 위한 ‘5대 제안’의 구체적인 실현 방안에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문 대통령은 신년사를 통해 ▲남북 철도도로 연결 ▲남북 접경지역 협력 ▲2032년 올림픽 남북 공동개최 ▲비무장지대(DMZ) 유네스코 세계유산 공동 등재 ▲김정은 국무위원장 답방 등 5가지를 제안한 바 있다.

하지만 김계관 북한 외무성 고문은 지난 11일 담화에서 남북관계에 대한 운신의 폭을 넓히겠다는 문 대통령의 대북 구상을 겨냥해 ‘멍청한 생각’, ‘바보 신세’ 등 표현을 동원해 맹비난 하는 등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문 대통령에게 김정은 위원장의 생일 축하 기념 메시지를 전달해 달라고 했다는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의 발표 하루만에 김 고문의 반박이 이뤄지면서 문 대통령의 ‘한반도 중재자 역’에도 적지 않은 난항이 예상된다.

아울러 이번 기자 회견에서는 문 대통령이 목표로 내세운 경제 활력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 복안도 주요하게 다뤄질 것으로 관측된다. 문 대통령은 7일 신년사에서 “우리 경제의 활력을 되찾고 나아진 경제로 ‘확실한 변화’를 체감하도록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문 대통령은 새해 첫 공식 외부 일정으로 친환경차 수출 현장을 방문한 데 이어, 경제 성장의 바탕이 되는 규제혁신 사례 현장을 찾는 등 경제 활력을 위한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문 대통령은 이번 기자회견에서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전 분야에 걸친 국정운영 구상을 소상히 설명하기를 원한다”면서 “특히 그동안 민생 경제에 집중해 왔던 부분, 평화에 대한 복안 등 주요 현안들에 대한 질문을 신경 써서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검찰 인사와 압수수색 등으로 청와대·법무부와 검찰 사이의 갈등이 최고조에 달하는 상황 속에서 보다 강력한 검찰 개혁 메시지를 발신할지도 관심사다.

혁신 성장의 다른 이름인 경제적 차원의 ‘상생 도약’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회적 과제인 권력기관 개혁과 공정사회 구축이 뒷받침 돼야 한다는 게 문 대통령의 확고한 인식이다.

문 대통령이 평소 ‘검찰 개혁의 근본’이라고 강조해 온 검경 수사권 조정의 제도화를 비롯해 윤석열 검찰총장의 거취 문제에 관한 구체적인 언급이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