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 탕! 샌프란시스코서 울린 총성… 한인들 독립열망 일깨웠다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1월 4일 03시 00분


코멘트

[2019 3·1운동 임정 100년, 2020 동아일보 창간 100년]
3·1운동 100년 역사의 현장 2부 <제87화> 미국 上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관광 명소인 페리빌딩은 장인환 전명운 의사가 친일 외교고문 더럼 화이트 스티븐스를 처단한 역사의 현장이다. 샌프란시스코=성동기 기자 esprit@donga.com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관광 명소인 페리빌딩은 장인환 전명운 의사가 친일 외교고문 더럼 화이트 스티븐스를 처단한 역사의 현장이다. 샌프란시스코=성동기 기자 esprit@donga.com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중심지 유니언스퀘어에서 동쪽으로 10분 정도 걷다 보면 오래된 시계탑이 눈에 띈다. 스페인 세비야 대성당의 히랄다 종탑을 모델로 1898년에 세워진 이 탑은 높이가 71m에 이른다. 시계탑이 돋보이는 페리빌딩은 한 세기가 지난 지금도 샌프란시스코의 랜드마크로 통한다. 지난해 12월 1일 비가 뿌리는 날씨에도 페리빌딩 주변에는 관광객들로 북적였다.

112년 전인 1908년 3월 23일, 이 빌딩에서 3발의 총성이 울렸다. 장인환 전명운 두 의사가 대한제국 외교고문으로 일제의 앞잡이 노릇을 하던 친일 미국인 더럼 화이트 스티븐스를 향해 쏜 총탄이었다. 스티븐스는 가슴과 다리에 총탄을 맞고 이틀 뒤 숨졌다.

이날 의거는 조선독립운동의 흐름을 바꿔 놓았다. 국내외 한인들에게 민족독립과 국권 회복에 대한 열망을 다시 각인시켰다. 당시 조선주차군사령부도 “미국에서 스티븐스가 배일 한국인에게 살해됐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형세가 급변해 전세가 다시 격증하고 소요지역이 확대됐다”고 평가했을 정도다. 또 이듬해인 1909년 10월 안중근이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고 이재명은 같은 해 12월 명동성당에서 매국노 이완용을 단검으로 찌르는 일로 이어졌다.

그동안 분열됐던 미주 한인사회도 이날 의거를 계기로 하나로 뭉쳤다. 1909년 국민회를 거쳐 1910년 탄생한 대한인국민회는 북미 하와이 멕시코 시베리아 만주 등 5개 지방총회를 둔 해외 독립운동의 최고 기관으로 발전했다. 대한인국민회는 1919년 4월 상하이임시정부가 출범하기 전까지 해외에 세워진 임시정부 역할을 수행했다.(국가보훈처 ‘무형의 정부 국민회 100년’)


○ 애국심에 불탄 두 의사

3월 21일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한 스티븐스는 미국 기자들 앞에서 기자회견을 한다. 일본이 한국을 보호한 뒤로 한국에 이익 되는 일이 많으며 농민과 인민들은 학대를 받지 않기 때문에 일본인을 환영한다는 궤변을 늘어놓았다. 그의 거짓 주장은 이튿날인 22일 현지 신문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에 보도됐다. 한인대표 4명은 페어먼트 호텔에 묵고 있는 스티븐스를 찾아가 발언 취소를 요구했으나 그는 “한국은 독립할 자격이 없다”며 망언을 멈추지 않았다.


23일 오전 9시 10분경, 워싱턴으로 가기 위해 스티븐스가 일본 영사와 함께 페리빌딩에 들어서려는 순간 전명운이 권총을 뽑았다. 하지만 그는 총을 쏘지 못했고 육박전이 펼쳐졌다. 이때 옆에 있던 장인환이 권총 3발을 발사했고 스티븐스는 쓰러졌다. 전명운도 어깨에 1발을 맞았다.

두 의사는 재판 과정에서 당당했다. 장인환은 법관에게 “스티븐스가 보호조약을 찬성하니 2000만 동포를 독살하려는 자이다. 이 도적을 죽이지 않으면 우리 동포가 반드시 멸망하게 되겠으므로 내가 신명을 내놓고 이 일을 한 것”이라고 말했다.

장인환과 전명운이 각각 속한 대동보국회와 공립협회가 공동으로 후원회를 만들고 재판 성금 7390달러를 모았다. 총을 쏜 장인환은 ‘애국적 환상에 의한 2급살인’ 혐의로 25년 금고형을 선고받았고 전명운은 보석으로 석방됐다. 애국 행위임을 강조한 변호인의 승리이자 한인들의 변호 성원이 결실을 거둔 것이었다.(‘미주이민 100년: 초기 인맥을 캔다’)


○ 무형의 정부 대한인국민회

하와이에선 한인합성협회가, 미 본토에선 안창호의 공립협회가 대표적인 한인단체였다. 스티븐스 저격 사건 이후 두 단체는 통합 논의를 시작해 1909년 2월 ‘국민회’가 탄생한다. 1910년에는 대동보국회까지 합쳐지면서 미주한인단체는 ‘대한인국민회’라는 하나의 이름으로 뭉친다. 샌프란시스코에서 설립된 대한인국민회는 1938년 로스앤젤레스로 본부를 옮긴다.

권영신 대한인국민회기념재단 이사장은 현판을 가리키며 “109년 전 이름에 대한민국이 다 담겨 있다”고 말했다. 로스앤젤레스=성동기 기자 esprit@donga.com
권영신 대한인국민회기념재단 이사장은 현판을 가리키며 “109년 전 이름에 대한민국이 다 담겨 있다”고 말했다. 로스앤젤레스=성동기 기자 esprit@donga.com
지난해 12월 4일 찾아간 로스앤젤레스의 대한인국민회기념관에는 초기에 만든 현판이 걸려 있었다. 권영신 대한인국민회기념재단 이사장은 “대한인국민회는 109년 전에 만들어진 이름인데 지금의 대한민국 국호가 이 안에 다 들어 있다”며 “대한인국민회는 국민이 주인이 되는 국가를 지향했다”고 설명했다.

대한인국민회는 경술국치(1910년 8월 29일) 이후 망국민(亡國民)으로 전락한 해외 한인들의 자치정부 역할을 할 중앙총회를 설치하고 중앙총회(본부 샌프란시스코) 산하에 북미 하와이 멕시코 시베리아 만주 등 5개 지방총회와 116개 지방회를 뒀다. 의무금이라는 회비도 걷었다. 1912년 중앙총회 선포식에서 박용만은 중앙총회가 국가 건설 이전의 임시정부 체제라는 뜻에서 ‘무형의 정부’라고 선언했다.

1913년 대한인국민회의 위상을 높이는 사건이 일어난다. 그해 6월 25일 한인 11명이 캘리포니아 주 헤밋의 살구농장에 일하러 갔다가 일본인으로 오인돼 쫓겨났다. 일본 정부가 재미 한인은 일본 국민이라며 미 정부에 공식 항의하면서 외교 문제로 비화됐다.

북미지방총회장 이대위는 6월 30일 브라이언 국무장관 앞으로 전보를 보냈다. “재미 한인은 한일합방 이전에 한국을 떠났기 때문에 일본의 식민 국민이 아니고 한국인”이라며 “일본 영사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국무장관은 이틀 뒤 “재미 한인의 문제는 일본 관리를 통하지 않고 대한인국민회와 교섭할 것”이라는 답신을 보내왔다. 장태한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대 교수는 “일제 군경의 만주 진출은 일본 식민 국민을 보호한다는 미명하에 이뤄졌고 똑같은 논리를 미국에서도 사용하려다 실패한 것”이라며 “이 사건 이후 미주 한인들은 일본의 간섭을 받지 않고 지속적으로 독립운동을 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 3·1운동 이후 선전외교전

1919년 중앙총회장이었던 안창호는 3·1운동 발발 소식을 상하이에서 보낸 전보를 통해 3월 9일 접한다. 중앙총회는 각 지방총회에 이를 전파하고 미국 등이 알도록 선전외교전을 펼쳤다. 9일 오후에는 미주 한인들이 상항한인감리교회에 모여 만세를 외치기도 했다. 대한인국민회 기관지 신한민보는 “장쾌하여도 이렇게 장쾌하고 신기하여도 이렇게 신기한 일은 진실로 무엇에 비할 데 없으니 기쁨에 겨운 우리는 눈물을 뿌렸노라”라고 소개했다.

재미 한인들은 3·1운동을 알리기 위해 1919년 4월 14∼16일 필라델피아에서 1차 한인대회를 개최한 뒤 미국 독립기념관까지 행진했다. 대한인국민회기념재단 제공
재미 한인들은 3·1운동을 알리기 위해 1919년 4월 14∼16일 필라델피아에서 1차 한인대회를 개최한 뒤 미국 독립기념관까지 행진했다. 대한인국민회기념재단 제공
재미 한인들은 미 언론과 지식인에게 우리의 독립 의지와 일제의 야만적인 식민지배 실상을 알리기로 하고 4월 14일부터 사흘간 필라델피아의 리틀극장에서 제1차 한인대회를 개최했다. 서재필이 의장을 맡았고, 미국의 언론·기업·종교·교육계 인사가 다수 참석했다. 한인이 적은 필라델피아를 개최지로 정한 이유는 이곳이 미국 독립선언서와 헌법을 작성한 역사적인 도시였기 때문이었다. 한인대회 참가자들은 결의문과 호소문을 채택한 뒤 미 군악대의 연주에 맞춰 독립기념관까지 태극기와 성조기를 흔들며 시가행진을 했다.(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대한인국민회는 4월 22일 서재필을 책임자로 한 필라델피아 한국통신부를 설립한 뒤 미 국민과 미국사회를 대상으로 선전외교전을 벌인다. 그해 6월에는 ‘한국평론’이라는 영문 잡지도 발행했다. 여러 도시에서 친한파 미국인들의 친우회가 조직됐다. 1919년 3월부터 1921년 9월까지 미국 내에서 한국 독립에 동조한 논설과 기사가 9702건이었고, 친일 성향은 50건에 불과했다.(‘재미한인 50년사’)


○ 임정 재정 뒷받침한 재미 한인

재미 한인들의 임정 지원은 외교와 재정 분야에서 두드러졌다. ‘독립운동사’는 임정의 재원은 처음부터 끝까지 재미 한인들에게 크게 의존했으니 그것만으로도 큰 몫을 한 것이라고 평가했을 정도다. 재미 한인이 재정적으로 크게 지원한 것은 해외 동포 중에서 가장 경제적으로 풍족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3·1운동 이후 미주 한인들은 독립의연금 공채금 애국금 혈성금 국민부담금 독립금 등 다양한 이름으로 돈을 모아 독립운동을 지원했다. 1919년 12월 말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는 8만8000여 달러를 모금해 임정과 구미위원부에 3만2600달러를 보내고 외교선전비로 1만4000달러를 사용했다고 보고했다. 3·1운동을 전후해 미국에서 모금된 독립의연금은 약 20만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독립운동사’)

재미 부인단체들도 나섰다. 미 본토의 대한여자애국단은 일본 상품 불매운동과 함께 기부금 모금운동을 전개했다. 고추장 간장 된장을 만들어 판매하기도 했다. 이렇게 모인 1300달러를 임정과 독립신문에 보냈다. 하와이의 대한부인구제회는 3·1운동 때 피해를 입은 애국지사 가족에게 1500달러를 보냈다. 또 국내에 재난이 있을 때마다 동아일보, 기독교청년회 등에 구호금을 전달했다. 다뉴바 한인들은 1920년 3월 1일 시내 주요 도로에서 3·1운동 1주년 기념 퍼레이드도 벌였다.

샌프란시스코·로스앤젤레스=성동기 기자 esprit@donga.com
#3·1운동 100년#미국#샌프란시스코#장인환 의사#전명운 의사#대한인국민회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