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절반 “지소미아 종료 잘했다”…“아베·김정은 호감 안가”

  • 뉴스1
  • 입력 2019년 11월 22일 11시 19분


코멘트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지소미아 관련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 회의 내용을 보고받고 있다.(청와대 제공) 뉴스1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지소미아 관련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 회의 내용을 보고받고 있다.(청와대 제공) 뉴스1

우리 국민 중 절반이상이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 결정을 잘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 10명 중 8~9명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대해 호감이 가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시진핑 중가 국가주석의 경우 2013년 8월 이후 일곱 차례 조사 중 호감도 최저치, 비호감도는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갤럽은 지난 19~21일 지소미아 종료를 앞두고 전국 성인 1001명에게 우리 정부의 종료 결정에 대해 물은 결과, 51%가 ‘잘한 일’이라고 답했다고 22일 밝혔다.

29%는 ‘잘못한 일’로 평가했으며 20%는 의견을 유보했다.

이는 지난 8월 조사 당시 잘한 일 53%, 잘못한 일 28% 결과와 비슷하다.

자유한국당 지지층에서는 70%, 성향 보수층 중에서는 57%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갤럽은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층, 대구·경북 지역민, 60대 이상 등에서는 긍·부정 의견이 비슷하게 나타났다”며 “그 외 응답자 특성에서는 정부의 지소미아 종료 결정에 긍정적 시각이 우세하다”고 설명했다.

지소미아 체결을 추진 중이던 2016년 11월 당시 조사에서는 ‘우리 안보에 일본의 정보력이 도움 될 것이므로 협정 체결해야 한다’ 31%, ‘과거사 반성 없는 일본과 군사적으로 협력을 강화해선 안 된다’ 59%로 나타난 바 있다.

우리 주변국 정상 다섯 명에 대한 호감 여부를 물은 결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17%),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시진핑 주석(이상 15%), 김정은 위원장(9%), 아베 총리(3%) 순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호감이 간다’는 응답 비율은 15%로, 올해 2월 베트남 하노이 2차 북미정상회담 전보다 9%p 줄었다. 트럼프 대통령 호감도는 2017년 5월 9%에 불과했으나, 그해 11월 한국 방문 후 25%로 늘었고 2018년 5월 북미정상회담 수락 직후에는 32%까지 오른 바 있다.

시진핑 주석에 대해서는 ‘호감 간다’ 15%, ‘호감 가지 않는다’ 73%로 집계됐다. 2013년 8월 이후 일곱 차례 조사 중 호감도 최저치, 비호감도는 최고치다. 2013년 8~9월에는 한국인의 시 주석 호감도가 50% 내외였고, 특히 시 주석이 한국을 방문한 직후인 2014년 7월에는 59%까지 기록한 바 있으나 사드 관련 경제적 보복 공세가 시작된 2017년부터 30%를 밑돈다.
뉴스1

아베 총리에 대해서는 한국인 열 명 중 아홉 명(92%)이 ‘호감 가지 않는다’고 답했고 ‘호감 간다’는 3%에 그쳤다. 한국인의 아베 총리 호감도는 2013년 이후 여섯 차례 조사에서 모두 5% 내외다.

푸틴 대통령에 대해서는 ‘호감 간다’ 17%, ‘호감 가지 않는다’가 61%로 나타났다. 의견유보가 22%로 비교적 많은 편이다. 2013년 8~9월 조사에서는 한국인 열 명 중 네 명(38%)이 잘 모르겠다는 반응이었다.

김정은 위원장에 대해서는 우리 국민 열 명 중 여덟 명(82%)이 ‘호감 가지 않는다’고 답했다. ‘호감 간다’는 9%로, 남북정상회담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갔다. 김 위원장 호감도 최고치는 2018년 5월 말 2차 남북정상회담 직후 31%다.

이외에도 갤럽이 미·중·일·러 중 한반도 평화를 위해 어느 나라와의 관계가 가장 중요하다고 보는지 물은 결과 62%가 미국, 19%는 중국을 선택했으며 일본과 러시아는 각각 6%, 2%로 집계됐다.

2년 전과 비교하면 미국, 일본을 중요하다고 보는 응답이 각각 5%p, 4%p 많아졌고 중국은 17%p 줄었다.

미국이 중요하다는 응답은 20·30대에서 약 70%, 40대 이상에서는 60% 내외다.

갤럽은 “2016년~2017년 조사에서는 다른 연령대와 달리 40대가 양국을 비슷하게 중시하는 경향이 뚜렷했는데 이번에는 그렇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박근혜정부 출범 초기인 2013년 3월 북한 3차 핵실험, 유엔 대북제재 결의안 통과 후 조사에서는 71%가 미국, 18%가 중국을 답했고, 그해 7월 박 전 대통령의 중국 방문 후에는 미국(56%) 대비 중국(35%)의 비중이 늘었다. 중국은 2017년 상반기 사드 배치 결정 발표 후 강경 반발하며 경제적 보복 공세를 펴다가 그해 11월 즈음부터 완화 움직임을 보였다.

이번 조사는 전화조사원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 ±3.1%p(95% 신뢰수준)에 응답률은 16%.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