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이번주 訪中 가능성…북미 실무협상 지연 속 주목

  • 뉴스1
  • 입력 2019년 9월 30일 15시 08분


코멘트
© News1DB
© News1DB
북미 실무협상이 계속 지연되고 있는 가운데 북중 수교 70주년을 맞는 이번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행보에 시선이 집중된다.

북미가 물밑에서 기싸움을 지속중인 상황에서 김 위원장이 이번 주 5차 방중을 통해 북중 연대를 재확인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는데, 실무협상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30일 외교가에서는 김 위원장이 중국 정부 수립 70주년인 10월 1일과 북중 수교 70주년 기념일인 10월 6일 사이 이번주 중국을 방문해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실시할 것이란 전망이 확대된다.

국가정보원은 앞서 24일 국회에 “10월6일이 북중수교 70주년인 점과 1·2차 북미 정상회담 전 방중(訪中)한 전례 등을 봤을 때 북중 친선강화와 북미협상 관련 정세 공유, 추가 경협 논의 등을 위해 방중할 가능성 있어 주시 중”이라고 보고한 바 있다.

김 위원장의 중국 방문 가능성에 시선이 쏠리는 이유는 물밑에서 실무협상 일정과 장소 등을 협의중인 북미가 좀처럼 날짜를 잡지못한 채 이견을 지속하고 있는데 있다.

북한은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을 통해 당초 9월 하순 실무협상을 제안했지만 계속된 기싸움 속에 결국 이는 무산되고 내달로 넘어간 상황이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앞서 26일 유엔총회 기자회견에서 실무협상 재개 시기에 대한 질문에 “미국은 준비가 돼 있다”면서도 “우리는 결국 (북한이 제안했던) 이달 말 실무협상이 일어나도록 할 수 없었다. 우리는 아직 일정을 잡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는 뉴욕 채널을 통해 진행되고 있다는 물밑 협의가 난항중임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선(先)비핵화, 후(後)보상’의 리비아 모델’ 대신 “새로운 방식”에 대한 의지를 밝힌 트럼프 대통령이 이후 제재 문제에서는 “비핵화 이전 어떤 행동도 취할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을 고수한 가운데 결국 비핵화ㆍ보상 교환 방법을 둘러싸고 여전히 양측이 갈등을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이 유엔에서 “대북제재 완화”를 공개 주장한 것은 이번주 북중정상회담을 앞두고 북중 연대를 대외에 과시함과 동시에 대미협상에서 북한에 힘을 실어주는 행보로 해석된다.

이는 북한 체제보장 방안이 핵심 이슈인 북미 실무협상과 3차 정상회담을 앞두고 앞으로 비핵화 협상에서 중국이 본격적으로 목소리를 내겠다는 신호로도 볼 수 있어 이번주 북중간 움직임에 더욱 관심이 집중된다.

왕이(王毅)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앞서 27일 유엔총회 연설에서 북한의 단계 동시행동 원칙을 강조하며 “한반도의 정치적 해결과 새로운 발전을 위해 대북 제재 결의안의 철회 조건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실무협상을 앞두고 유엔총회와 한미정상회담에서 미국의 태도가 불만족스러웠을 김 위원장으로서는 이번주 북중정상회담에서 시진핑 주석의 입을 통해 ‘제재 완화’와 ‘체제보장’ 문제에서 지지 입장을 재확인함으로써 대미 견제를 시도 할 수 있다. 중국 역시 다음주 10월 1~7일 국경절 연휴 이후 미국과 고위급 무역협상을 앞두고 대미 협상력을 높이려는 양측간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모양새다.

다만, 북중 회담이 북미 실무협상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게 중론이다. 중국과 북한 모두 대미 협상을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을 과도하게 자극하는 것은 부담스러울 수 있어 북한 비핵화와 북미 대화 재개를 촉구하는 수준에서 수위를 맞출 것으로 보인다.

미국 의회가 트럼프 대통령 탄핵 준비 절차에 착수한 가운데 연말 시한을 앞두고 실무협상이 더 늦어질 경우 탄핵 정국에 밀려 북한 문제는 후순위로 밀려날 가능성이 높은 상황도 북미가 북중 회담 이후 수주내로 일단 실무협상을 개최하는 수순에 돌입할 것이란 관측을 뒷받침하는 대목이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