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 지펴지는 ‘김정은 부산 답방’…靑 “북미 대화 진전이 관건”

  • 뉴시스
  • 입력 2019년 9월 24일 18시 16분


코멘트

11월 부산서 열리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참석 가능성
靑 "답방 언급 일러…북미 대화에서 실질적 결과물 나와야"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지난해 김 위원장에 초대 제안
金 대내외적 여건 마련이 우선…북미 대화에서 성과 '주목'

무산됐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답방 시나리오가 다시 거론되고 있다. 지난해 ‘서울’ 방문이었다면 올해는 ‘부산’이다. 국가정보원이 오는 11월 부산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참석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김 위원장 답방이 올해는 실현될지 주목된다.

청와대와 국정원은 답방에 앞서 북미 대화 진전이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24일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아직 답방을 언급하기엔 이른 측면이 없지 않다”면서도 “북미 실무협상에서 실질적 결과물이 나와야 하고, 그 이후 이야기를 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국정원 역시 “비핵화 협상 진행이 어떻게 되는지에 따라서 부산에 오지 않겠냐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고 정보위 한국당 간사 이은재 의원은 전했다. 서훈 국정원장도 “아직은 잘 모르겠지만 비핵화 협상의 진전과 연계돼 전개될 것으로 본다”고 했다고 한다. 방문 가능성을 완전히 부인하지 않은 셈이다.

결국 관건은 비핵화 협상의 진전에 따라 김 위원장의 방문도 실현될 수 있다는 말이다. 본격적으로 성사 가능성을 언급하기엔 아직은 이른 측면에 있지만 최근 북한이 대화 재개 의지를 밝히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유화적인 제스쳐를 취하면서 여건적으로 봤을 땐 그리 열악한 상황이 아니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한미 정상이 이번 정상회의에서 북한과의 적대관계 종식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체제안전 보장 방안에 대해 머리를 맞댄 것도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하나의 주춧돌이 됐다는 평가다. 한미 정상은 23일(현지시각) 북미 실무협상에서 실질적 성과를 조기에 도출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무엇보다 한미 정상이 지난해 6월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합의 정신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을 재확인하고, 적대관계 종식 의지를 재확인했다는 점에서 주목해볼 수 있는 성과로 평가됐다.

북한의 체제 안전 보장 방안과 관련해 구체적인 수준으로까지 언급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전했지만, 적대관계 종식 의지는 사실상 북한이 요구했던 종전선언 카드의 재부상으로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하노이의 실패를 반복하지 않고, 원점으로 돌아가 비핵화 협상 시작부터 설계까지 다시 시작해보겠다는 의지로도 풀이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번 정상회담의 성격은 북미 대화를 촉진시키기 위함”이라며 “적대관계를 종식하겠다는 미국의 의지를 확인한 것은 북한의 체제 안전 보장 방안 중 하나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국정원도 제3차 북미 정상회담을 준비하기 위한 북미 간 실무협상이 향후 2~3주내 재개될 것으로 전망했다. 국정원은 “앞으로 2주 내지는 3주 안에 북미 실무협상이 재개될 가능성이 높으며 실무협상에서 합의가 도출될 경우 연내에도 3차 북미 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다”고 예상했다.

지난해 12월 한반도를 뜨겁게 달궜던 ‘김정은 서울 답방설’은 2차 북미 정상회담이 가시권에 들어오면서부터 불거졌다. 북미 비핵화 합의 이행의 결속력을 높이기 위해선 남북 정상이 빨리 만나야 한다는 차원에서였다.

북미 실무 협상의 실질적 진전에 따라, 연내 북미 정상회담 개최 나아가 11월 김 위원장 부산 방문 논의가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일각에서는 협상 진전 속도에 따라 지난해 6월 30인 남북미 판문점 회동에 이어 11월 부산에서 사상 초유의 비핵화 외교전이 펼쳐질 수 있다는 가능성도 거론된다.

이미 김 위원장에게 초청장은 전달된 상태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태국 방콕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아세안 10개국 정상들이 함께 모인 자리에 김 위원장이 함께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면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평화를 위해 매우 의미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손을 내밀었다.

11월 부산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정상회의에는 아세안 10개 회원국(브루나이·캄보디아·인도네시아·라오스·말레이시아·미얀마·필리핀·싱가포르·태국·베트남)이 모두 참여한다. 아세안 국가들은 모두 북한과의 수교를 맺고 있는 만큼 김 위원장이 국제 무대에 설 수 있는 장으로 최적이라는 평가다.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지난해 회의에서 김 위원장을 초청하자는 제안을 하기도 했다.

다만, 김 위원장이 부산을 방문할 수 있는 충분한 대내외적 여건을 마련해야 된다는 것이 과제로 남아있다. 북미 실무협상의 진전과 궤를 같이하는 남북 관계의 발전도 같은 선상에 있다. 나아가 지난해 12월 서울 답방도 북한 내부 반발 문제가 상존했다고 한다. 이번 북미 대화에서 북한의 체제 안전 보장을 확실히 담보할 수 있는 구체적인 성과물이 나온다면 김 위원장의 결단을 이끌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