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또 청약’ 앞두고 서울 청약 광풍, 왜?

  • 뉴시스
  • 입력 2019년 9월 5일 06시 15분


코멘트

분양가상한제 시행돼도 가점경쟁 불가피
집값상승 전환, 금리인하 기대감도 불지펴
공급부족 우려에 일부서 불안심리 커져

서울 아파트 청약 열기가 후끈 달아 올랐다. 최고 경쟁률이 수백대 1에 달하는 단지들이 속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상황은 오는 10월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확대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나타난 것이어서 주목 받는다.

분양가 상한제 민간 확대 적용될 경우 실수요자들은 더 낮은 가격에 더 많은 기회를 얻게 되는 것이 자명하다.하지만 수요자들은 예정보다 빠르게 청약시장의 문을 두드리고 있는 조기 과열이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5일 금융결제원 아파트투유에 따르면 지난달 분양한 이수 푸르지오 더 프레티움은 89가구 모집에 1만8134명이 몰리면서 평균 203.75대 1의 경쟁률로 마감했다. 이는 최근 10년 중 2번째로 평균 경쟁률이 높다.

이 단지 전용면적 84㎡E형은 단 1가구 모집에 1123명이 청약을 넣을 정도로 성황을 나타내며 기염을 토했다.

이달 들어 분양한 녹번역 e편한세상 캐슬 2차도 1순위 해당지역 청약에서 총 70가구 모집(특별공급 제외)에 5280건의 청약통장이 몰리며 평균 75.4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 단지 전용면적 59㎡는 33가구 모집에 3309명이 몰려 100.27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연초까지만 해도 광진구 화양동 ‘e편한세상 광진 그랜드파크‘가 고분양가 논란 속에서 미분양 단지가 나오기도 했던 점을 감안하면 시장의 분위기는 바뀌었다.

전문가들은 최근의 청약시장이 빠르게 달아오르는 배경에 대해 분양가 상한제 시행을 앞두고 불안심리는 커진 반면,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은 높아진 데 따른 것으로 보고 있다.

오는 10월 분양가 상한제가 민간에 확대 적용되면 시세 대비 싼 새 아파트 분양이 나올 가능성이 높아진다.

하지만 이미 실수요자 중심으로 분양시장이 재편됐지만 여전히 가점을 둘러싸고 세대간 갈등 상황에 대한 우려가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다. 50대 이상 장기 무주택자가 아닌 경우 앞으로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된 단지들이 나오더라도 가점 경쟁에서 밀릴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청약에 나섰다는 것이다 .

또 최근 서울 집값이 다시 상승세로 돌아서면서 수요자들의 불안심리를 부추기고 있는 것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감정원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가격은 지난달 현재 이미 7억9972만원으로, 8억원을 육박한다. 통계상 조사표본의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전년 같은 달 7억238만원 대비 1억원 가깝게 뛰었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서울의 KB주택구입 잠재력지수(KB-HOI)는 13.7로 조사됐다. 이 지수는 중위가구가 집값의 70%를 20년 만기 원리금상환한다고 가정했을 때 구입 가능한 재고주택의 수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서울에서 중위가구가 무리하지 않고 살 수 있는 아파트가 열 중 하나꼴에 불과하다는 뜻이다.

반면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은 커졌다.

최근 높은 경쟁률로 청약을 마감한 단지들은 공통적으로 분양가가 정부 중도금대출 규제를 받지 않은 9억 원 이하다.

정부가 저리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출시하고,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1.5%를 낮춘 데 이어 연내 추가 인하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퍼지면서 주택 구입에 우호적인 환경이 될 것으로 보는 사람들이 늘어난 것이다.그동안 집값 하락에 대한 기대로 주택 구입 시기를 연기하려던 수요자들이 다시 주택시장에 뛰어드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서울 주택 공급 부족에 대한 불안감이 커진 것도 한몫한다. 분양가 상한제 민간 확대 적용으로 재건축과 재개발사업이 위축되면 공급이 위축될 것으로 보는 투자자들이 늘고 있는 것이다.하지만 과도한 우려라는 지적도 있다. 이미 초과이익환수제, 재건축 연한 등으로 정비사업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분양가 상한제 시행이 시장에 큰 변수가 되기 어렵다는 것이다.

박원갑 KB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현재의 공급부족 우려는 이성적이라기보다는 직관적 판단에 의존하고 있다”면서 “실체보다 불안심리에 기대고 있는 바가 크다. 부동산시장에 올바른 신호를 전달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