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韓반도체 수출 올해말까지 감소…금융시장 수시 불안”

  • 뉴스1
  • 입력 2019년 8월 22일 13시 08분


코멘트
서울 강남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딜라이트룸에 전시된 반도체 웨이퍼.(다중촬영) © News1
서울 강남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딜라이트룸에 전시된 반도체 웨이퍼.(다중촬영) © News1
한국은행은 우리나라 반도체 수출이 올해 말까지 부진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일본의 수출규제로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부품 조달에 어려움이 생기면 관세 인상과 같은 가격규제보다 더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미중 무역갈등·메모리 수요처의 구매 지연 단기간 해소 난망

한은은 2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현안보고에서 “지난해 하반기부터 부진해진 글로벌 반도체 경기의 회복이 지연되고 있다”며 “반도체 경기 부진이 당분간 지속되고, 우리 반도체 수출도 올해 말까지 감소세를 나타낼 전망”이라고 밝혔다.

현재 메모리반도체는 수요보다 공급이 많아 단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고 전세계 매출액도 급감했다. 올해 상반기 전세계 D램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약 31% 감소했고, 평균 단가는 30% 내외로 하락했다.

이는 스마트폰 등 전방산업의 수요 부진, 서버업체 등 IT기업의 구매 지연, IT부문으로 확대된 미중 무역갈등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특히 전세계 데이터센터 투자가 부진해 데이터센터용 서버 제조에 필요한 반도체 수요가 크게 줄었다. 중국 기업 화웨이에 대한 미국의 거래 제한은 글로벌 IT 관련 투자 지연 전망을 확산시키며 반도체 수요 회복에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은의 전망은 미중 무역갈등과 메모리반도체 수요처의 구매 지연이 짧은 시간 내 해소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한 결과로 해석된다. 한은은 “주요 기관은 낸드가 올해 4분기, D램이 내년 2분기 수요 우위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했다”고 밝혔다.

◇日 수출 규제 장기화 땐 미래신산업 발목

© News1
© News1
한은은 일본 수출규제가 장기화되면 반도체 소재, 특수목적용 기계, 정밀화학제품을 중심으로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들 분야는 일본 수입 비중이 높으면서 일본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이 높다.

한은은 “일본 수출규제가 우리 경제에 미친 영향은 아직 제한적이지만, 앞으로 상황이 악화돼 소재·부품 조달에 애로가 발생할 경우 관세 인상과 같은 가격규제보다도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은은 일본의 수출 규제가 장기화되면 미래신산업인 비메모리반도체, 친환경 자동차 등의 발전이 지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수입 규제 대상 품목이 크게 확대돼 규제 대상 여부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우리 기업의 경영계획 수립에도 장애가 될 것이라고 봤다.

일본은 지난 7월4일 한국으로 수출하는 메칭가스 등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소재 3개 품목에 대한 개별허가 취득을 의무화했다. 이어 지난 2일 우리나라를 화이트리스트(백색 국가·수출심사 우대국)에서 제외하기로 결정했고 오는 28일 시행에 들어갈 예정이다.

또 한은은 글로벌 성장세 둔화, 미중 무역분쟁, 반도체 경기 회복 지연 등으로 수출과 설비투자 부진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 News1
© News1
올해 수출(통관)액은 7.6%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5.4% 증가에서 크게 내려앉은 수치다. 수출 증감률은 지난해 4분기 7.7%에서 올해 1·2분기 -8.5%, 7월 -11.0%로 악화됐다.

수출과 연계성이 큰 올해 설비투자도 5.5%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감소율 2.4%보다 확대된 것이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부문의 대규모 투자가 일단락된 지난해 2분기 이후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다.

특히 반도체경기 회복 지연, 글로벌 불확실성 증대 등으로 IT부문의 부진이 심화됐다. 비IT부문은 유지·보수 중심의 투자에 머물고 있는 모습이다.

금융·외환시장의 변동성은 수시로 확대될 수 있다고 봤다. 국내외 경기둔화 우려가 지속되는 가운데 미중 무역분쟁이 심화되고 일본 수출규제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은은 “시장불안에 대비한 시나리오별 대응계획을 점검·보완하고 시장안정화 조치를 적기에 시행해야 한다”며 “특히 대외 여건 악화가 우리나라의 대외신인도 하락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