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미 스님 도움으로 한글창제… ‘집현전’ 정설 뒤집은 역사물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7월 25일 03시 00분


코멘트

영화 ‘나랏말싸미’ 개봉
훈민정음 해례본 총 108자 등 영화 곳곳 ‘신미 코드’로 재해석
일부 관객 “역사 왜곡” 우려

쉬운 문자를 통해 백성에게 진리를 전파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진 신미 스님 역의 박해일. 메가박스중앙㈜플러스엠 제공
쉬운 문자를 통해 백성에게 진리를 전파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진 신미 스님 역의 박해일. 메가박스중앙㈜플러스엠 제공
“나는 공자를 내려놓고 갈 테니 너는 부처를 내려놓고 와라.”(세종대왕)

“아니요. 나는 부처를 타고 가겠습니다. 주상은 공자를 타고 오십시오.”(신미 스님)

역적의 집안에서 태어나 천한 승려가 된 신미는 임금 앞에서 감히 절을 하지 않는다. 병으로 시력을 잃어가는 눈을 고쳐 뜨며 백성을 위해 문자를 만드는 일에 매달린 세종은 한글 창제의 실마리라도 잡기 위해 신미를 설득한다.

신미 스님은 세종이 유언으로 ‘우국이세 혜각존자(祐國利世 慧覺尊者·나라를 위하고 세상을 이롭게 한, 지혜를 깨우쳐 반열에 오른 분)’라는 법호를 내린 인물. 24일 개봉한 영화 ‘나랏말싸미’는 숭유억불의 나라 조선의 임금이 승려와 손잡고 한글을 만들었다는 가설에서 출발한다. 영화는 세종대왕(송강호)과 집현전 학사들이 한글을 창제했다는 정설에서 벗어나 신미 스님(박해일)과 승려들이 세종을 도와 한글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그렸다.

세종대왕의 이면에 있는 인간적인 감정과 고뇌를 표현한 배우 송강호. 메가박스중앙㈜플러스엠 제공
세종대왕의 이면에 있는 인간적인 감정과 고뇌를 표현한 배우 송강호. 메가박스중앙㈜플러스엠 제공
조철현 감독은 시나리오 작업을 하기 전 신미 스님에 대한 연구와 문헌 대부분을 검토했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박해진 작가가 800쪽 가까운 분량으로 신미 대사의 일대기를 쓴 도서출판 나녹의 ‘훈민정음의 길―혜각존자 신미 평전’을 참고했다. 조 감독과 제작사는 박 작가 개인과는 자문 계약을 체결하고 세미나도 함께 진행했지만 개봉 직전 출판사로부터 ‘출판사의 동의를 구하지 않고 영화를 만들었다’며 영화 상영금지 가처분 신청을 당했다. 개봉 전날인 23일 법원은 일단 기각 결정을 내려 우여곡절 끝에 개봉은 예정대로 이뤄졌다. 하지만 제작사가 저자를 상대로 6월 제기한 저작권침해정지청구권 등 부존재 확인 소송은 서울중앙지법에 계류 중이다. 저자가 더 이상의 저작권을 주장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해 달라는 소송이다.

영화는 훈민정음을 ‘신미 코드’로 재해석해 곳곳에 녹여냈다. ‘나랏말싸미’로 시작하는 훈민정음 해례본을 세종대왕이 안평대군에게 구술하며 받아 적게 하는 장면에서 세종은 일부러 한 글자를 지워 총 108글자로 완성한다. ‘108’은 널리 알려진 불교의 법수(法數)다. 세종대왕이 중국의 각종 언어학 서적을 밤새 연구하면서도 찾지 못한 한글 창제의 마지막 퍼즐이 불교 유산 팔만대장경 안에 있었던 점, 산스크리트어와 티베트어, 파스파 문자 등 소리글자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점은 관객에게 새롭게 다가올 법한 부분이다.

영화 안팎으로 신미 스님이 부각되다 보니 일부 관람객과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한글 창제의 정설을 뒤집는 역사 왜곡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개봉 첫날인 24일부터 포털사이트와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영화로 보기에는 심각한 역사 훼손이 아니냐’는 반발도 나오고 있다.
 
이서현 기자 baltika7@donga.com
#나랏말싸미#신미 스님#역사 왜곡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