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오동훈]스마트시티, 이공·인문계 협업이 필요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8월 9일 03시 00분


코멘트
오동훈 서울시립대 도시행정학과 교수
오동훈 서울시립대 도시행정학과 교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앞으로 우리는 기술과 사고, 사람, 기계의 융합이 요구되고 공유가치가 배가되는 융·복합 사회에서 살아야 한다. 정부는 스마트시티, 자율주행차, 드론 등을 국토교통 분야 8대 혁신성장동력으로 선정했다. 이 중 스마트시티는 첨단 산업기술의 실험과 적용의 장으로 미래를 좌우하는 먹거리이자 국가 핵심 어젠다다. 많은 국가는 스마트시티를 연구하거나 개발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한 보고서에 의하면 중국이 계획하는 스마트시티는 2000개가 넘는다. 지난해 11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는 이미 중국의 스마트시티 관련 연구를 위해 대학 내에 중국미래도시연구소를 설치했다.

스마트시티의 성공적 정착과 효율적인 운영, 관리를 위해서는 지불, 조정, 적용, 확장, 지속 등 5가지 가능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먼저 스마트시티는 관리 주체가 설치비와 운영비를 감당할 수 있는 규모로 진행돼야 한다. 거주민도 지불 가능하고 지불할 의사가 있는 도시환경 조성이 요구된다. 서울과 같이 재정 규모가 크고 인구가 밀집된 지역과 지방 소도시의 지불 능력은 차이가 있다. 지역 주민의 소득에 따라서도 지불 능력이 다르므로 실제로 운영 및 관리가 가능한 프로그램을 배치해야 한다.

또 도시의 환경과 규모에 따라 기술 적용의 범위 및 규모를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지방자치 강화로 각 도시의 환경은 더욱 다양한 형태를 보이게 될 것이다. 기술 및 서비스, 정책을 유동적으로 조정하는 전략이 중요하다. 또 실제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순히 인프라의 확충에 그치지 않고 현재 인프라를 활용해 최대한의 효과를 이끄는 기술을 배치하는 게 필요하다.

기술은 확장이 가능해야 한다. 스마트시티는 각 기술이 따로 존재하는 과거 개념과 달리 서로 연결돼 스스로 발전해야 한다. 궁극적인 목표는 스마트시티 플랫폼을 통해 비즈니스를 창출하고 경제력을 키워 도시가 지속 가능하게 발전하는 것이다. 시민의 지속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고 시민의 수요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구조도 요구된다.

이공계와 인문계 연구자의 협업도 필요하다. 처음부터 이들이 함께 연구해야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결과물이 나올 수 있다. 주민 참여, 시장 수요, 행정 등 스마트시티 관련 인문사회 연구에 기술 개발의 가능성, 적용 여부 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스마트시티는 가상현실, 빅데이터 등을 활용해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하나의 커다란 산업 분야다. 단순히 첨단 신도시로 봐서는 안 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오동훈 서울시립대 도시행정학과 교수
#4차 산업혁명#스마트시티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