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중견기업/기고]대학 특성화로 미래 산업 인재 양성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8월 28일 03시 00분


코멘트

권기환 한국연구재단 교육기반지원실장

요즘 산업계의 화두는 4차 산업혁명이다. 다행스럽게도 최근 대학들 역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학이 속한 지역 사회와 소통하고 지역 산업체와 학생들을 연계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이 과정에서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재정 지원 사업들의 역할을 긍정적으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학문 후속 세대 양성을 위한 연구 중심 대학 육성 지원(BK21+), 산학협력으로 기술과 창업을 지원하는 산학협력 선도 대학 육성 지원 (LINC+) 등은 대학의 변화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는 평을 받고 있다. 특히, 교육부의 대학 특성화 사업(CK)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2014년부터는 대학별로 자신들의 특화된 분야에 집중하여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각 대학의 강점 분야가 무엇인지, 대학이 속한 지역 사회의 수요가 무엇인지를 스스로 찾아내고 거기에 맞추어 환골탈태하고 있는 것이다. 과감한 변신을 통해 각 대학이 가장 잘할 수 있는 분야를 선택해서 새로운 교육 과정을 개발하고 산업체와 함께 우리 대학생들을 미래 인재로 양성하고 있다.

대학 전체를 지원하는 여타 재정 지원 사업과 달리, 대학 특성화 사업은 대학의 학부(과) 단위를 지원함으로써 대학이 강점 분야를 강화하여 경쟁력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충남대의 환경친화형 기계부품 창의 인재 양성 사업단, 순천대의 창조형 에너지·자동화 설비 인재 양성 사업단, 제주대의 천연 화장품 산업 인재 양성 사업단, 상명대의 신흥시장 수출마케터 양성 사업단, 우송대의 글로벌 철도 전문 인력 양성 사업단, 부산외국어대의 다문화 창의인재 양성 사업단 등이 대표적이다.

현재 대학 특성화는 109개 대학 335개 사업단이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데, 융복합 분야의 인력 양성이 84개 사업단으로 가장 많다. 융복합 성격의 교육과정을 통해 유연성이 큰 인재를 양성한다는 점은 미래 사회 대비 측면에서 중요하다. ICT, 바이오, 스마트, 4D 등 첨단 기술 분야는 4차 산업혁명 대비 측면에서 고무적이다. 중소기업과 신흥시장 진출 분야는 경제 성장에 도움이 되며, 지역과 복지 분야는 사회적 수요에 필수적이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노력은 새로운 일자리 창출로 이어진다. 교육부의 대학 특성화 사업은 무엇보다 대학 스스로 선택과 집중을 할 수 있는 기회로 작용했다. 대학들은 선뜻 나서지 못했던 구조 개혁을 과감하게 시행하였고, 학과 단위 지원으로 인해 적은 비용으로도 대학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었다. 5년간 지원되는 대학 특성화 사업이 올해로 4년차를 맞았다. 이제 본격적인 성과가 대학의 특성화 사업단을 통해 나타나는 시점이다. 대학 특성화에 대한 꾸준한 지원을 통해 양성된 미래 인재가 실질적으로 지역 산업체와 이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권기환 한국연구재단 교육기반지원실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