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지현의 뉴스룸]이공계 최고의 직업이 공기업 전산팀?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8월 11일 03시 00분


코멘트
노지현 사회부 기자
노지현 사회부 기자
볼펜만 한 기구를 쇠고기 위에 갖다 대기만 해도 한우인지 육우인지, 신선한지 부패했는지를 알 수 있는 시대가 올지 모른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 ‘스트라티오’가 개발한 제품 ‘링크스퀘어’는 물체의 표면이 반사하는 빛을 센서로 감지해 상태를 판별한다. 현재 비아그라가 진품인지 가짜인지 파악할 수 있는 수준까지 완성됐다. 궁극적 목표는 일반인이 생선회나 육류, 천일염 등 식료품을 고르기 전에 원산지와 신선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회사는 미국 스탠퍼드대 출신 한국인 박사들이 만들었다.

실리콘밸리의 또 다른 스타트업 ‘피지오큐’는 작은 바이오센서를 피부에 대기만 해도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기계를 만들었다. 팔에 혈압측정기구를 두르고 혈압을 재는 현재 방식과 비교하면 무척 편리하다. 측정한 혈압을 주치의나 건강검진센터에 바로 전송할 수도 있고 매일매일의 혈압 기록을 모아 빅데이터로 활용할 수도 있다. 고령자가 많은 일본 보험회사와 인구가 많은 중국 투자자들이 관심을 보이는 이유다.

지난달 취재차 찾은 실리콘밸리에는 이들 업체처럼 한국인이나 한국계 엔지니어들이 만든 회사가 적지 않았다. 이 업체들은 제품과 기술이 세계무대에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애쓰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이 보는 한국 이공계의 현실은 밝지 않은 듯했다. 말 속에서는 이공계 후배들에 대한 안쓰러움이 묻어났다.

‘펄즈시스템스’의 클레이 김 한국지사장은 “좋은 자질을 가졌는데 생각하는 힘은 사라진 것 같다”고 말했다. 학교 성적은 좋고 스펙도 화려한데 윗사람의 지시가 없으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당혹해한다는 것이다. 김 지사장은 “선행학습과 정답만 찾는 교육을 받다 보니 스스로 탐구해서 해답을 찾아 가는 경험과 즐거움을 맛보지 못해서 그런 것은 아닐까”라고 했다. 주입식 교육이 필요한 시기는 분명히 있었다. 근대화와 산업발전을 빨리 이뤄야 하던 때는 학생이 갖는 의문은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이 눈앞에서 펼쳐지는 현실에서 압축적 주입식 교육 방식은 유통기한이 다했음에도 부모와 학교는 여전히 선호하는 실정이다.

학생 탓으로만 돌릴 수 없는 까닭이다. 이공계 학생들은 “기술만 가지고는 한국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고 말한다. “정보기술(IT)을 전공해도 공기업에 가면 프린터만 고친다더라” “공기업 전산팀, 정확히 말하면 ○○○○공사 전산팀이 최고의 직장”이라고 공공연히 얘기한다. 중소기업에서 인턴으로 일했다는 청년은 “회사 사장이 ‘대기업에서 돈을 안 줘서 나도 월급을 못 받는다’고 하더라”며 “우리나라에서 이공계는 답이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실리콘밸리에서 만난 한국인 창업자들도 한국에서 기술자가 창업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에 대해 입을 모았다. 한 창업자는 “공공기관에서 기술보증을 받아도 은행 대출을 받기 어렵고, 제품 개발이 생각대로 되지 않으면 모든 책임을 기술자에게 묻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창업했다 하더라도 한 번 실패하면 ‘패자 부활’의 기회를 얻기 어려운 현실도 여전하다고 했다.

교육은 창의적이라고 말하기 어렵고, ‘문제해결형’ 인재는 줄어들고, 창업의 길은 멀고도 험하며, 정부의 지원은 효율적이지 않다. 이 같은 악순환을 끊을 수 있는 약한 고리는 어디일까. 그것도 모르면서 우리는 이공계 학생들에게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재가 되기만을 바라고 있다.
 
노지현 사회부 기자 isityou@donga.com
#이공계 직업#실리콘밸리 한국계 회사#펄즈시스템스#4차 산업혁명 인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