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저축률 2026년 ‘마이너스’ 전환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8월 3일 03시 00분


코멘트

韓銀 ‘자산-부채 영향’ 보고서
고령화 가속… 소득대비 지출 늘어
집 팔아 생활하는 노년층 늘듯

현재의 고령화 속도가 지속되면 2026년에는 한국의 가계저축률이 마이너스(―)로 돌아서면서 가계의 보유 자산이 점차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2일 한국은행이 발간한 ‘인구 고령화가 가계의 자산 및 부채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8.9%인 가계저축률은 2026년 마이너스로 돌아선 뒤 2030년에는 ―3.68%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측됐다. 가계저축률은 가계가 저축할 수 있는 금액을 소득으로 나눈 것으로, 지출이 소득을 초과하면 마이너스가 된다.

한은은 가계저축률이 떨어지는 원인으로 고령화를 지목했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2015년 12.8%에서 2030년 24.5%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자가 되면 소득은 감소하지만 의료비나 생활비 등의 지출은 줄지 않아 저축 여력이 떨어진다. 일본도 고령 인구 비율이 1994년 13.9%에서 2014년 25.7%로 높아짐에 따라 가계저축률이 11.6%에서 ―0.5%로 떨어진 사례가 있다.

한은은 고령층에 진입한 사람들이 부족한 소득을 메우기 위해 부동산이나 금융자산을 처분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런 가계가 많아지면 부동산 등 자산 시장에 악영향이 불가피하다.

다만 한은은 그로 인한 시장 충격이 크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은은 “고도성장기를 겪은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가 다른 세대보다 약 5000만 원 많은 자산을 축적하고 있다”며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해 고령층에 진입하더라도 이들이 곧장 부동산을 처분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기대수명 연장에 대비하거나 자녀에게 부동산을 상속하기 위해 자산 처분을 최대한 미룰 수도 있다.

그러나 한은은 “75세가 넘는 고령층은 실물자산 처분에 적극 나설 가능성이 높다”며 “주택연금처럼 실물자산을 유동화하는 상품을 개발해 부동산의 급격한 처분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은은 이날 함께 발표한 ‘인구 고령화에 따른 우리나라 산업구조 변화’ 보고서를 통해 앞으로 국내총생산(GDP)에서 제조업 비중은 하락하고, 서비스업 비중은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고령층 증가로 상품 소비는 감소하지만 의료와 보건 등 서비스업 수요가 늘어날 것이기 때문이다. 화학제조업, 수송 및 기계업 등은 생산성의 하락이 예상됐다. 강종구 한은 국장은 “수요가 늘어날 서비스업과 고부가가치 제조업을 중심으로 노동수급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건혁 기자 gun@donga.com
#한국은행#가계저축률#마이너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