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 향기]문화대혁명 이후의 중국, 선진 근대사상을 흡수하다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2월 11일 03시 00분


코멘트

◇중국은 어떻게 서양을 읽어왔는가/왕첸 지음·홍성화 옮김/312쪽·1만8000원·글항아리

1955년 중국을 방문한 장폴 사르트르(오른쪽)와 시몬 드 보부아르. 사르트르의 실존철학은 문화혁명 직후 중국 사상계로부터 각광받았다. 글항아리 제공
1955년 중국을 방문한 장폴 사르트르(오른쪽)와 시몬 드 보부아르. 사르트르의 실존철학은 문화혁명 직후 중국 사상계로부터 각광받았다. 글항아리 제공
요즘 ‘1만 권 독서법’이라는 책이 유행이라고 한다. 연간 700권 이상 읽는 저자의 다독 비결은 핵심적인 한 줄 찾기다. 모든 문장을 다 보지 말고 책 읽는 목적을 정한 뒤 필요한 내용만 뽑아내라는 거다. 이때 중요한 건 자신이 이미 쌓은 선(先)지식 혹은 가치관일 것이다. 고기도 먹어본 사람이 먹는다고 타자의 경험이나 사상을 흡수하는 것도 마찬가지 아닐까.

이 책은 중국이 개혁개방 이후 30여 년 동안 유럽, 일본의 사상을 받아들여 자신의 것으로 내재화한 지적 편력(遍歷)을 다루고 있다. 대부분의 지식 수용 과정이 그러하듯 때론 암울한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 외국 사상을 이용하거나, 타산지석으로 배우는 모습을 포착했다.

내가 이 책에서 흥미롭게 본 것은 일본 사상가 후쿠자와 유키치와 마루아먀 마사오의 사상을 중국인들이 읽어낸 방식이다. 중국과 일본은 둘 다 화려한 문명을 한때 꽃피웠지만, 결국 19세기 말 서양 제국주의에 의해 ‘강요된 근대화’를 겪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물론 근대화의 성패는 엇갈렸지만 말이다.

일본 근대사상의 대부 격인 후쿠자와 유키치는 중국 문명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했다. 얼핏 민족감정과 맞물려 반감을 살 만도 했지만, 문화혁명 직후 빠른 근대화에 내몰린 당시 중국 지식인들은 수용하는 태도를 보였다. 예컨대 후쿠자와의 탈아론(脫亞論)은 제국주의의 단초라는 비판도 있지만, 근대화를 달성하기 위한 강한 의욕으로 여겨졌다. 이는 문혁과 맞물려 자신들의 봉건 잔재를 일소하려는 중국 사상계의 의지가 투영된 결과였는지도 모른다.

발전에 대한 갈망은 콤플렉스로 이어지기 쉬운 것 같다. 일본 현대정치사상사 연구 대가인 마루야마 마사오에 대한 독법(讀法)이 그런 사례다. 마루야마는 ‘일본 정치사상사 연구’에서 도쿠가와 시대 유학 사상에서 근대화의 맹아를 찾고 있다. 그러나 오규 소라이의 유학 사상에서 근대화의 단초를 찾는 마루야마의 시도는 논리적 비약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저자에 따르면 중국 역사학자들도 근대화가 완전히 외압에 의한 게 아니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2001년 방중한 자크 데리다가 “중국엔 자고로 철학이 없었다”고 말하자 중국 학계가 발끈한 것도 비슷한 맥락 아니었을까.

김상운 기자 sukim@donga.com
#중국은 어떻게 서양을 읽어왔는가#왕첸#중국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