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과 놀자!/이랑의 진로탐험]첨단과학 적용한 스마트 농업 시대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2월 8일 03시 00분


코멘트
지능형 비닐하우스 관리시스템을 적용한 ‘스마트팜’. 동아일보DB
지능형 비닐하우스 관리시스템을 적용한 ‘스마트팜’. 동아일보DB
안락의자에 앉아 가상현실 속 영화를 즐기고 있는 농부, 그 옆으로 잘 익은 사과를 수확하는 로봇의 손길이 분주합니다. 잠시 가상현실에서 빠져나온 농부는 스마트폰으로 로봇이 수확한 사과의 양을 확인하고, 상품의 질에 따라 자동으로 가격이 매겨진 사과를 온라인 시장에 올려 판매합니다. 주문이 들어오면 포장과 배송은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처리되고, 소셜미디어로 좋은 상품을 홍보할 수 있어 매출은 꾸준히 유지됩니다.

로봇이 힘든 일을 대신하고 스마트폰으로 농사를 짓는 모습이 어느 농부의 미래 희망사항이냐고요? 그렇지 않습니다. 비슷한 사례가 벌써 농촌에서 벌어지고 있으니까요. ‘스마트팜’이라고 불리는 ‘지능형 비닐하우스 관리시스템’을 적용한 농장에서는 스마트폰 하나로 작물에 꼭 필요한 만큼의 물을 주고 일조량과 온도, 습도 등을 자동으로 조절하며 농사를 짓습니다. 농부는 힘든 농사일에서 벗어나 농산물의 품질 관리나 마케팅에 더 신경을 쓰면서 고품질의 농산물을 더 많이 생산해 팔 수 있게 됐죠.

미래에는 ‘식량전쟁’이 벌어지고, 농사를 짓는 사람이 없어 농촌이 폐허가 될 거라고 예측하는 사람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실제 미래의 농업은 스마트한 기계들 덕분에 덜 힘들고 더 효율적인 모습으로 탈바꿈할 거란 기대가 큽니다. 육체적으로 힘든 일이 많고 첨단 과학기술이 덜 적용되어 왔기 때문에 오히려 스마트 기기나 과학기술의 혜택을 더 크게 누릴 수 있다는 것이죠.

이런 스마트한 미래 농업에 기여하는 대표적 직업으로 ‘정밀농업전문가’를 들 수 있습니다. 이는 과거 경험과 감각을 중시하던 농사 방식에서 벗어나 농업을 보다 과학적으로 분석하며 접근하는 직업입니다. 예를 들어 토양센서를 통해 비료가 부족한 부분과 필요한 양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개인적 경험이 아닌 토양정보, 작물정보, 환경정보, 전년도 수확량 대비 비료 양에 대한 정보 등 복합적 데이터를 분석해 앞으로 어떤 관리가 필요한지를 계획하고 연구하죠. 이들은 작물의 생육상태나 위치별 토양조건에 따라 적합한 농자재를 투입해 환경을 보호하면서도 농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일도 합니다.

이상기온, 지구온난화 등에 따른 식량 생산의 한계를 극복해야 하는 문제, 그리고 화학 농자재를 과잉 사용하며 발생하는 환경문제들을 살펴보면, 농업은 단순 식량생산을 넘어 국가의 운명을 좌우하는 중요한 생존 문제로 평가됩니다. 그런 점에서 농업에 과학을 적용하는 일들은 앞으로 더 유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지능화된 농사 시스템을 적용하는 스마트 파머에 도전해볼 수도 있고, 농사의 효율성을 높이고, 보다 발전된 과학기술로 농업을 발전시키고 싶다면 정밀농업전문가 같은 연구자가 되는 길도 있으니까요.
 
이랑 한국고용정보원 전임연구원
#스마트팜#지능형 비닐하우스#스마트 농업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