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전입 인구의 60%는 충청 주민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2월 3일 03시 00분


코멘트

수도권 과밀 해소 도움 안돼

 세종시 전입 인구의 60% 이상이 충청권 주민인 것으로 집계됐다. 세종시 조성의 가장 중요한 목적인 수도권 과밀 해소에 제대로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중앙행정기관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이전이 마무리된 것을 감안할 때 앞으로 이런 현상이 더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2일 세종시에 따르면 2012년 7월 출범 이후 지난해 말까지 전입자에서 전출자를 뺀 순이동(순전입) 인구는 모두 13만7199명. 이를 지역별로 보면 대전이 5만2244명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 2만1909명, 서울 1만6818명, 충북 1만5262명, 충남 14만50명 순이었다. 권역별로 봤을 때 충청권(대전 충남 충북)이 8만1556명으로 전체의 59.1%를 차지했다.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4만1818명의 곱절에 가깝다.

 출범 후 시간이 지날수록 순이동 인구 가운데 충청권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초기인 2013년의 순이동 인구 비율은 수도권이 50.7%로 가장 많았고, 충청권이 37.8%로 뒤를 이었다. 하지만 2014년 충청권이 57.3%로 수도권(33.9%)을 처음으로 앞지르더니 2015년에도 충청권이 전체 순이동 인구의 64.7%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지난해에는 충청권이 전체 순이동 인구의 61.7%로 수도권 22.8%보다 훨씬 많았다.

 세종시로 거주지를 옮기는 이유도 ‘직업’에서 ‘주택’으로 변화했다. 2013년에는 직업이 41.3%로 가장 많았고 주택(23.7%), 가족(20.8%) 등의 순이었지만 2015년 조사에서는 주택이 37.6%로 처음으로 직업(30.4%)을 앞질렀다.

 최근 중앙행정기관과 정부출연연구소의 이전이 끝났기 때문에 직업보다 다른 이유로 세종시로 이주하는 현상은 앞으로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충청권 인구 유입 비율이 커지면서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세종시가 본래 의도한 수도권 과밀 해소에 기여하지 못할 뿐 아니라 충청권 위성도시로서 이 권역 인구의 블랙홀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대전시나 공주시, 청주시 등 인근 지방자치단체 관계자들은 “세종시 빨대 현상에 대한 나름의 대비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지만 마땅한 방법이 없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지명훈 기자 mhje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