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 칼럼]‘이상한 사람’ 취재기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11월 16일 03시 00분


코멘트
부형권 뉴욕 특파원
부형권 뉴욕 특파원
1997년 봄. 당시 김영삼 대통령 차남 김현철 씨의 국정개입 의혹 사건으로 나라가 시끄러웠다. 이른바 ‘문민정부 소통령’ 김현철 파문의 진원지는 서울 송파구에 있는 G남성클리닉(비뇨기과) 원장 박경식 씨(63·당시 45세). 김 씨가 박 씨 병원에서 모처에 걸었던 전화통화의 민감한 내용이 언론에 공개되면서 사건은 촉발됐다. 이후 박 씨가 “현철 씨에게 이런 의혹도 있다”고 한마디 할 때마다 신문 1면 톱기사가 됐다.

강남 서초 송파 강동 지역을 담당하는 주니어 사건기자(강남경찰서 출입)였던 기자에게 ‘박 씨를 전담 마크하라’는 시경캡(사건팀장)의 특명이 떨어졌다. 한 달 넘게 기자실 대신 박 씨 병원으로 출퇴근했다. 점심때가 되면 배달된 음식을 같이 먹고, 담소를 나눴다. 특별히 뭘 취재한다기보다 그냥 그의 곁에 붙어 있었다. 밀물처럼 그를 찾던 기자들이 하나둘 썰물처럼 모두 빠져나간 뒤에도 난 계속 병원에 있었다. 그해 4월 21일 그가 국회 ‘김현철 청문회’ 증인으로 TV 앞에 설 때까지 그의 복잡 미묘한 심정을 바로 옆에서 살피고 느낄 수 있었다. 당시 정치권, 특히 여권에선 그를 ‘이상한 사람’이나 배신자 취급을 했다. 그러나 거리 서민들은 살아 있는 권력의 반대편에 서 있는 그에게 응원을 보냈다. 택시 운전사도, 식당 아줌마도 “큰일 하고 계신다”며 요금과 밥값을 안 받을 정도였다. 박 씨가 이상한 건지, 그를 이상하게 여기는 여권 인사들이 이상한 건지를 생각해 보게 됐다. 기자실에만 앉아 있었으면 할 수 없는 소중한 사람 공부였다.

요즘 뉴욕에서 고 천경자 화백의 큰딸 이혜선 씨(70·섬유 디자이너)를 여러 차례 단독으로 만나 인터뷰를 하면서 18년 전 했던 ‘사람 공부’를 복습하고 있다. 2003년 뇌출혈로 쓰러진 천 화백을 혼자 간병해온 이 씨는 일부 미술계나 언론에서 ‘이상한 사람’처럼 표현되곤 했다. 천 화백 생존 여부 확인 요청을 완강히 거부하니 이상하고, 최근 사망이 확인된 뒤에는 왜 곧바로 공개하지 않았느냐며 미스터리라고 한다. 이 씨 여동생마저 기자회견에서 “언니는 이해할 수 없는 인격과 행동으로 이해하기 힘든 행동을 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 ‘이상한’ 이 씨와 마주 앉아 몇 시간 얘기를 듣다 보니 이상하고 궁금한 내용이 조금씩 달라졌다.

“우리 외할머니도 중풍으로 쓰러져 누워 계셔서 어머니가 대소변 받아내던 모습이 어렴풋이 기억납니다. 그런 일을 12년간 하신 겁니까.”(기자)

“누워 계시지만 살아 계심에 감사하며 하루하루 살았습니다. 12년이 12개월처럼 느껴집니다.”(이 씨)

“마치 ‘어머니 시신을 감춰놓은 엽기적인 딸’처럼 온갖 억측과 괴담에 시달리셨는데 그 원인을 제공한 사람들이 뒤늦게 사과라도 하던가요.”(기자)

“그럴 리가 있나요. 엄마 모시면서 그런 험한 일을 많이 겪다 보니 ‘악’만 남았습니다.”(이 씨)

앞으로도 이 씨의 그 ‘악’을 접하는 사람들은 그를 ‘이상한 사람’이라고 생각할지 모르겠다. 하지만 인터넷 민심은 “어쨌든 병석의 엄마를 12년간 홀로 수발 든 딸 아니냐”는 기본적인 인정과 따뜻한 격려가 더 많은 것 같다.

올 8월 11일 천 화백의 장례미사를 집전한 가브리엘 피에드라이타 신부(55)는 최근 기자와 만나 “고인의 마지막 얼굴은 아주 평화롭고 고요했다”고 했다. 이어 “딸(이 씨)은 정말 헌신적으로 환자(천 화백)를 돌봤다. 우리 교회 교인들의 큰 귀감이 됐다”고 전했다.

한국의 누구에겐 이상한 사람이, 미국의 누구에겐 귀한 본보기가 되고 있는 셈이다. 이 역설이 기자에겐 또 한 번 소중한 사람 공부가 되고 있다.

부형권 뉴욕 특파원 bookum90@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