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디팩트] 식품과 IT가 만나다 ‘푸드테크’ … 국내선 배달앱이 대세

  • 입력 2015년 10월 19일 09시 17분


코멘트
배달앱·O2O 서비스가 국내 시장 80% 이상 점유 … 농업시설 적용은 아직 걸음마 단계

최근 스마트폰으로 간단하게 음식을 주문할 수 있는 ‘배달앱’이 생활 속으로 깊숙히 자리잡으며 관련 분야도 주목받고 있다. 국내 배달앱 시장은 지난해 기준 약 1조7000억원 규모를 기록했으며 업계에선 올해는 약 2조원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배달앱은 식품과 정보통신기술(IT)가 결합된 일명 푸드테크(foodtech)의 대표적 예다. 식품 관련 서비스업을 빅테이터(디지털 환경에서 생성되는 대규모 데이터)와 비콘(근거리 무선통신, Beacon) 등 정보통신기술(ICT)과 합친 것으로 미국에서 가장 먼저 시작됐다. 국내에는 푸드테크란 용어를 국내 배달앱 시장 점유율 1위 업체 ‘배달의 민족’ 대표인 김봉진 씨가 국내에 최초로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 대표적으로 알려진 푸드테크 업체를 분류하면 크게 7가지로 나뉜다. 먼저 △모바일에서 버튼을 눌러 결제하면 음식을 배달해주는 배달앱 서비스 △맛집 추천 및 예약을 대행해주는 서비스 △모바일로 주문하고 매장에 방문해서 커피나 음식을 픽업하거나 먹을 수 있는 O2O(Online to Offline, 온라인 오프라인 연계) 서비스 △음식을 만들 수 있는 레시피와 필요한 식재료들을 집으로 배송해주는 서비스 △식재로만 배송해주는 서비스 △정기적으로 식재료나 음식을 배송해주는 서비스 △레시피를 공유하는 서비스 등이 있다. 이중 배달앱과 O2O가 국내 푸드테크 시장의 약 80% 이상을 차지한다.

대표적 푸드테크 기업으로 꼽히는 독일의 딜리버리히어로(Delivery Hero), 중국의 어러머(Ele.me) 등은 기업가치가 약 10억달러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다. 영국의 음식배달 스타트업 딜리버루는 지난 1월에 2500만달러, 7월 말엔 7000만달러를 투자받는데 성공해 기업가치가 약 3억1500만달러에 달한다. 대표적 검색사이트 구글에서는 지난 5월부터 검색 서비스와 연계한 음식 주문 및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향후 음식 및 식재료 배달 시장의 성장에 대한 전세계적 기대를 읽을 수 있다.

국내 IT업계의 한 전문가는 “미국에서 시작된 푸드테크 바람이 국내의 독특한 식문화와 결합해 더욱 거세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며 “향후 IT 산업 발전의 중심축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내에선 ‘키친 인큐베이터’로 불리는 푸드테크 창업 바람으로 150개가 넘는 관련 육성기관이 운영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에도 창조경제혁신센터, 창업지원센터 등에서 푸드테크 스타트업 발굴을 위해 발벗고 나서기 시작했다. 서울시는 미국의 키친 인큐베이터를 벤치마킹해 자체 보유한 각종 공공데이터를 바탕으로 푸드테크 전문 멘토링을 지원할 계획이다.

미국에선 농업시설까지 푸드테크의 영향력이 끼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선 아직까지 농업시설에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하기는 쉽지 않다. 시장규모 자체가 작은 데다 700만~2000만원 정도 드는 설치비에 부담을 느끼는 농가가 대부분이라 보급률이 낮다. 이같은 사정으로 국내 정보통신기술 농업마을은 시범사업 형식으로 구성돼 있다.

대표적으로 세종특별자치시에 위치한 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 창조마을이 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SK텔레콤과 함께 지난해 12월 세종시에 스마트팜 100곳을 설치했다. 면단위 마을 전체에 스마트팜을 설치, 운영하고 있는 사례로는 국내 최초다. 스마트팜 설치 후 생산성은 22.7% 증가하고, 노동력은 38.8%, 운영비는 27.2% 절감하는 등 농가경영 효율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으로 비닐하우스 시설을 제어하고 CCTV로 모니터링 한다. 스마트폰 하나면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커튼, 환풍기, 스프링쿨러, 열풍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각종 센서를 통해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조도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남태헌 농식품부 창조농식품정책관은 “국내 농업·농촌분야에서 ICT 융복합은 아직 초기 단계로 관련 기술은 국산화·표준화 등이 미흡한 데다 전문인력 등도 부족해 숙제가 많은 상황”이라며 “초기인 만큼 정부 차원에서 스마트팜을 지속 확산하고 성과를 만들어내 관련 기술이 발전하고 결과적으로 우리 농업의 경쟁력 제고 및 해외시장 수출 등 선순환 생태계를 만들어나가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취재 = 현정석 엠디팩트 기자 md@mdfact.com
* 본 기사의 내용은 동아닷컴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