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준공업지역, 고용-미래산업 거점으로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10월 14일 03시 00분


코멘트

서울시 재생-활성화 방안 발표

1970년대 서울 영등포구 일대는 수도권의 핵심 공업지역이었다. 안양천에서 공급되는 풍부한 공업용수와 경부선 경인선 철도의 분기점이라는 편리한 교통 덕분에 양평·문래·당산동을 중심으로 거대한 공업지대가 형성됐다. 자연스럽게 대규모 상업지구가 들어서면서 서울의 최대 부도심으로 떠올랐다.

하지만 공장들이 줄어들고 구로·금천구 등이 차례로 영등포구에서 떨어져 나가면서 지금은 성장동력을 상실한 ‘쇠락한 도시’가 됐다. 그러면서도 여전히 전체 면적의 30%(9.10km²) 이상이 준공업지역에 묶여 있어 지역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부 지역은 30∼40년 전 들어선 영세 제조업체와 오래된 주택이 뒤섞여 ‘낙후 지역’이라는 꼬리표를 떼지 못하고 있다. 주민들도 공장에서 나오는 악취와 소음에 시달리고 있다.

이와 비슷한 준공업지역은 영등포를 비롯해 구로·금천·성동·도봉·강서·양천구 등 7개 구의 19.98km²에 이른다. 준공업지역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업지역 가운데 경공업이나 환경오염이 적은 공장을 수용하는 곳이다. 전용공업지역이나 일반공업지역과 달리 주거시설과 상업시설, 업무시설이 들어설 수 있다.

이처럼 오래전에 개발이 이뤄지면서 낙후된 준공업지역이 일자리와 미래 산업을 선도하는 기회의 땅으로 탈바꿈한다. 특성에 따른 맞춤형 도시 재생을 통해 기존 산업을 강화하고 주거환경도 함께 바꾸는 재생 사업이 추진된다.

서울시는 13일 이 같은 내용의 ‘준공업지역 재생과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준공업지역을 △주거재생형 △산업재생형 △전략재생형 △산업단지재생형 등 4개 유형으로 나누고 맞춤형 재생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주거재생형’은 그동안 방치됐던 준공업지역 내 낡고 위험한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게 핵심이다. 공장 비율이 10% 미만인 주거지역이 대상이다. 역세권에 임대주택이나 기숙사를 지을 경우 용적률이 현재 250% 이하에서 400%까지 완화된다. 준공업지역 내 주거지에 대한 재생 방안을 처음으로 포함시켜 일터와 삶터가 공생하는 도시재생을 추구한다. 그동안 준공업지역 내 노후하고 열악한 주거지에 살고 있던 주민들의 주거환경 개선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재생형’은 공장 비율이 10% 이상으로 산업과 주거환경 개선이 동시에 필요한 곳이다. 정비 대상을 대규모 부지(1만 m² 이상)에서 중소규모 부지(3000m² 이상)까지 확대한다. ‘전략재생형’은 전체의 30% 이상 전략유치시설을 확보해 지역 발전을 이끌 산업거점으로 육성한다. ‘산업단지재생형’은 일자리 거점 역할을 하게 된다. 지은 지 40년 이상 된 G밸리와 온수산업단지 등이 대상이다. G밸리는 머무르고 싶은 근로공간, 판매·전시·체험·문화 기능을 확충한다. 온수산업단지는 도로 공원 옹벽 등 기반시설을 늘리고 영세업체 지원의 경영지원 공동 R&D·마케팅 등을 지원한다.

서울시는 준공업지역 재생을 통해 일자리 4만6000개와 연면적 기준 10만 m²의 임대산업시설을 확보하고 청년주택 2700채를 공급할 것으로 전망했다. 서울시는 실태조사와 토론회, 관련 법제도를 정비해 내년부터 적용할 계획이다. 류훈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준공업지역은 서울의 3.3%에 불과하지만 서울의 미래를 품고 있는 원석 같은 존재”라며 “준공업지역이 지역경제를 살리고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기회의 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영달 기자 dalsara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