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오픈프라이머리 배수진… “文대표와 담판 짓겠다”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9월 25일 03시 00분


코멘트

‘흔들리는 與대표’ 돌파구 찾을까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요즘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참여경선제)가 화제에 오르면 표정이 단호해진다. 그만큼 상황을 민감하게 받아들인다는 뜻이다. 김 대표가 내건 100% 오픈프라이머리는 새정치민주연합의 반대로 궤도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문제는 오픈프라이머리 논란이 단순히 공천 룰 문제에 그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김 대표가 제도 관철에 정치생명을 걸겠다고 한 만큼 친박(친박근혜)계는 김 대표에게 책임을 물을 태세다. 야당에 비해 잠잠하던 여당 내부에서도 갈등이 불거질 조짐을 보인다.

김 대표는 24일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와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본협상을 위한 사전접촉의 성격이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김 대표 측에서는 “만남이 성사됐는지 모른다”고 밝혔다. 정치권에서는 두 대표가 은밀히 만나 서로의 요구사항을 교환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앞서 김 대표는 “추석 연휴 중에라도 문 대표를 만나겠다”고 밝혀 협상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 김 대표 “전략공천, 단 한 명도 안 한다”

김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전략공천은 단 한 명도 하지 않겠다”고 배수의 진을 쳤다. 여야 대표 회동에서 오픈프라이머리가 관철되지 않더라도 국민에게 공천권을 돌려준다는 기본 취지는 살리겠다는 것.

김 대표는 이날 오전 국민공천제 태스크포스(TF) 회의에 참석해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의지를 거듭 밝혔다. 김 대표는 “문 대표와 끝까지 합의를 해보고 안 될 경우 당내 공식 기구를 만들어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담판이 결렬될 경우 30일경 의원총회를 거쳐 ‘대안’을 모색한다는 얘기다.

친박계는 “정치생명을 걸겠다”고 한 김 대표의 발언을 문제 삼을 태세다. 현 상황에선 오픈프라이머리 대안 모색을 압박하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최종 무산될 경우 ‘거취 문제’와 연결하려는 움직임도 엿보인다. 다음 달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여부를 놓고 무산 쪽으로 결론이 나면 책임 공방이 뜨거워질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김 대표와 가까운 박민식 의원은 이날 한 방송에서 “오픈프라이머리는 새누리당의 당론이기 전에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다”면서 “정치적으로 상대방을 흠집 내기 위한 소재로 오픈프라이머리 실패를 활용하려는 것이 아니냐는 의구심이 든다”며 김 대표를 엄호했다.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이 무산될 경우 공천 주도권을 놓고 김 대표와 친박계의 신경전이 가열될 수 있다. 김 대표가 이날 ‘전략공천은 없다’고 선을 그은 것은 사전에 친박계의 공천 개입 가능성을 차단하려는 의도라는 관측이 나온다.

○ 추석 연휴 기간 여야 대표 담판 나설 듯

김 대표는 오픈프라이머리 도입과 의원 정수 300명 유지를 주장하는 반면에 문 대표는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비례대표 의석수(54석) 유지가 제1목표다. 문 대표가 지역구 20% 전략공천을 고수하는 한 오픈프라이머리를 놓고 절충점을 찾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문 대표는 김 대표에 비해 상대적으로 여야 대표 담판에 느긋한 분위기다. 문 대표는 최근 공천 혁신안을 통과시켰고, 재신임 국면을 수습하면서 주도권을 회복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굳이 지역구 20% 전략공천 카드를 협상 테이블에 올릴 필요가 없다는 생각을 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불완전한 형태의 타협이 이뤄질 가능성은 있다.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이 절박한 김 대표로서는 문 대표가 협상에서 계속 “지역구 20%는 전략공천하겠다”고 고수한다면 해당 지역은 여당 단독으로 오픈프라이머리를 실시하고 나머지는 절충점을 찾아볼 수 있다는 것이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여야 간에 협상의 접점을 찾을 수 있는 부분이 석패율제”라며 “새누리당 혁신안에 포함된 석패율제와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혼용하는 방식으로 여야 대표가 합의한다면 절충점을 찾을 가능성도 없지 않다”고 말했다. 더욱이 이날 두 대표의 ‘사전 조율’이 사실이라면 추석 연휴 기간 ‘빅딜’이 성사될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한편 선거구획정위원회는 다음 달 2일 △현행보다 2석 줄인 244석 △현행 246석 유지 △3석 늘린 249석 중 단일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정치권에선 246석을 유지하는 방안이 유력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강경석 coolup@donga.com·황형준 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