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한국여행 홍색 경보’… 美는 “여행때 손씻기 등 주의”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6월 10일 03시 00분


코멘트

[‘한국 메르스’ 지구촌 이슈로]세계 각국 확산여부 비상한 관심
홍콩 ‘단체여행 모두 취소’ 초강수… 日, 한국에 현지대책본부 설치
美, 여행경보 가장 낮은 수준 유지… NYT “韓병원문화가 확산 원인”


한국의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가 진정과 확산의 갈림길에 들어선 가운데 세계 각국이 한국 여행 경보를 발령하는 등 한층 강화된 차단 조치를 강구하고 나섰다.

가장 적극적인 대응조치를 내놓고 있는 홍콩은 한국 여행 경보를 발령하고 한국행 단체여행을 모두 취소하기로 했다.

캐리 람(林鄭月娥) 홍콩 정무사장은 9일 “보안국이 한국에 대해 홍색(紅色) 여행 경보를 발령했다”고 밝혔다. 세 단계 경보 중 홍색은 두 번째 수준으로 불필요한 여행을 자제하고 기존 여행 계획을 조정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홍콩이 보건 문제로 홍색 경보를 발령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홍콩 여행업협회인 여유업의회(旅遊業議會)는 홍색 여행경보 발령을 계기로 이달 내 한국 단체여행을 모두 취소한다고 밝혔다. 홍콩 교육국은 각 학교에 한국 여행을 연기하거나 취소하는 것을 고려하라고 당부했다.

마카오 정부도 불필요한 한국 여행을 피하라고 주문했다. 마카오 정부는 한국에서 진행할 예정이던 마카오 관광 홍보 활동을 취소했으며, 간호사들에게 이달 서울에서 열릴 예정인 국제간호협의회에 참석하지 말도록 당부했다.

일본 정부도 발 빠르게 나서고 있다. 일본 정부는 9일 한국에 거주하는 일본인들의 안전 확보를 위해 서울의 주한 일본대사관과 부산의 총영사관에 ‘메르스 현지 대책본부’를 설치하겠다고 했다. 9일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 기자회견에서 나온 일본 기자들의 질문 12개 중 절반인 6개가 메르스 관련일 정도로 한국의 메르스 사태는 일본의 초미의 관심사이다. 스가 장관은 이날 “한국 정부에 격리 대상자에 관한 정보 제공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앞서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5일 발표한 여행 안전 공지에서 한국 여행 경보를 3단계 경보 등급 중 가장 낮은 ‘주의’ 단계로 분류하며 손 씻기 등 통상적 주의를 기울여 달라고 했다. 한국 여행 계획을 변경할 필요는 없다고 강조한 내용이었지만 외국 여행 시의 건강 관련 사항을 공개하면서 ‘새 소식(new)’으로 ‘한국’을 언급했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와 함께 CDC는 미국 의사들에게 한국에서 메르스가 발병하기 14일 이내 기간에 한국의 병원에 있었던 사람들 중 심한 호흡기 질환을 앓는 사람이 있다면 즉시 감염 가능성을 통보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미국과 유럽 언론들의 관심도 뜨겁다. 9일 CNN 인터넷판은 전날에 이어 이틀 연속 한국 메르스 사태를 머리기사로 올리며 의학 전문기자를 동원해 메르스에 대한 정보를 문답풀이식으로 제공했다.

프랑스 일간 르피가로도 ‘패닉 상태에 빠진 한국’이라는 제목으로 ‘비록 세계보건기구(WHO)가 한국으로의 여행과 한국인들의 출국을 제한할 것을 권고하지는 않았지만,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7000여 명의 중국인과 홍콩인 그리고 대만인들이 이미 한국 여행을 취소했다’는 내용을 전했다.

파스퇴르 연구소 국립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표준연구소 부소장 뱅상 에누 박사는 신문에서 “메르스 바이러스가 가진 문제는 5~14일이나 되는 긴 잠복기”라며 “건강에 아무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고 비행기를 탔다가 나중에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프랑스도 한국에서 오는 여행객들에 대한 주의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장 뒤뷔송 감염면역센터 연구소장도 인터뷰에서 “한국의 메르스 전염이 아주 빠른 속도로 확산되는 점이 우려스럽다”며 “바이러스가 변이하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들며 아시아인들이 메르스 바이러스에 유전적으로 약할 수도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고 말했다.

한편 일본 전문가들은 한국 정부가 초동대처에 미숙했던 것과 병원 공개를 둘러싸고 지방자치단체와 협조하지 못한 것 등 두 가지 측면에서 실기했지만 현재 관리는 잘 이뤄지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마쓰야마 슈토쿠(松山州德) 국립감염증연구소 실장은 “한국에서는 지금까지 감염이 한정적이고, 감염 경로도 대부분 파악돼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유럽 언론들은 또 ‘최고 수준의 보건의료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국민들이 대부분 마스크를 필수품으로 여길 만큼 전염병 예방에 자발적으로 나서는 문화적 전통을 갖고 있는 한국에서 지난 3년간 걸프 지역에서만 발병했던 전염병이 어느 나라에서보다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하다’는 의문을 내놓았다.

이에 대해 일부 언론들은 한국의 병원문화를 원인으로 짚기도 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8일 ‘메르스 바이러스의 경로’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68세 남성의 ‘병원 오디세이’에서 확산이 시작됐다면서 한국의 병원 문화를 자세히 소개했다. NYT는 한국의 첫 메르스 환자인 이 남성이 고향인 아산에서 기침 등의 증세로 처음 병원을 찾은 이후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기까지 총 4곳의 병원을 돌아다녔다고 전했다.

세계 언론들이 한국의 메르스 확산을 주요 뉴스로 다루고 있는 가운데 미국 뉴욕타임스는 7일자 만평에서 북한을 등장시켰다. 인민군 간부가 북방한계선 앞에서 망원경을 들고 “탈북자 몇명이 되돌아오고 있습니다” 라고 김정은(가운데)에게 보고하는 모습이다. 다른 인민군 간부는 ‘남한에서의 메르스’라고 적힌 종이를 들고 있다. 뉴욕타임스 캡처
세계 언론들이 한국의 메르스 확산을 주요 뉴스로 다루고 있는 가운데 미국 뉴욕타임스는 7일자 만평에서 북한을 등장시켰다. 인민군 간부가 북방한계선 앞에서 망원경을 들고 “탈북자 몇명이 되돌아오고 있습니다” 라고 김정은(가운데)에게 보고하는 모습이다. 다른 인민군 간부는 ‘남한에서의 메르스’라고 적힌 종이를 들고 있다. 뉴욕타임스 캡처

이어 세계보건기구(WHO)도 인정한 것처럼 메르스 초기 증상이 감기와 비슷해 구분이 쉽지 않다는 사실을 감안한다 해도 대형 병원에 가족과 간병인이 함께 병동에 머무르면서 환자의 땀을 닦고 시트까지 가는 간병문화가 스스로를 감염 위험에 고스란히 노출시킨다고 덧붙였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도 “WHO와 한국의 합동조사팀이 빠른 전염병 창궐의 원인을 시장처럼 북적이는 응급실과 6~8명이 한 병실에서 치료를 받는 병원 시스템 문제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특파원 종합·권재현 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