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수도권]서울대공원 최고 인기 ‘아기동물 인공포육장’ 폐쇄 왜?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1월 28일 03시 00분


코멘트

“사람 손에 자라니 결국 무리서 왕따”

어미가 양육을 포기한 새끼를 한곳에 모아 기르는 서울대공원 ‘인공포육장’(위쪽 사진)에서 아기 재규어가 사육사 품에 안겨 우유를 먹는 과거의 모습. 하지만 어미-새끼 간 소통 강화와 동물복지 증진을 위해 과감히 인공포육장을 폐쇄한 뒤 만든 ‘종보전교육관’(아래쪽 사진)에서 국내 토종동물 종 보전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있다. 서울대공원 제공
어미가 양육을 포기한 새끼를 한곳에 모아 기르는 서울대공원 ‘인공포육장’(위쪽 사진)에서 아기 재규어가 사육사 품에 안겨 우유를 먹는 과거의 모습. 하지만 어미-새끼 간 소통 강화와 동물복지 증진을 위해 과감히 인공포육장을 폐쇄한 뒤 만든 ‘종보전교육관’(아래쪽 사진)에서 국내 토종동물 종 보전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있다. 서울대공원 제공
2009년 경기 과천시 서울대공원 동물원에서 태어난 침팬지 ‘광복이’(6·수컷). 21세기 들어 이곳에서 태어난 첫 번째 침팬지로 큰 화제를 모았다. 그러나 화려한 조명 뒤에는 숨겨진 아픔이 있었다.

광복이는 태어나자마자 엄마 갑순이(18)에게서 버림받았다. 출산 뒤 반나절이 넘도록 엄마 품에 가지도 못한 광복이는 ‘인공포육장’으로 옮겨졌다. 젖병을 들고 어리광을 부리는 광복이를 보기 위해 매일 수많은 관람객이 인공포육장 앞으로 몰렸다. 이때만 해도 사육사들은 광복이가 영원히 행복하게 살 줄 알았다.

문제는 5년이 지나 광복이를 어미 무리로 옮기는 과정에서 일어났다. 다른 침팬지도 아닌 어미 갑순이가 광복이를 내쳤다. 갑순이는 조심스럽게 다가오는 광복이에게 송곳니를 드러내고 침을 뱉었다. 전형적인 ‘공격 신호’였다. 어미로부터 두 번째 버림을 받은 광복이는 결국 유인원관 사육사들과 함께 살고 있다. 광복이가 언제 다시 무리로 돌아갈지는 아무도 모른다.

동물원에는 광복이처럼 태어나자마자 어미에게서 버림받는 동물이 많다. 폐쇄적인 환경 탓에 예민해진 어미가 양육을 스스로 포기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서울대공원은 2002년 11월 국내 처음으로 ‘고아’가 된 새끼들을 모아 기르는 인공포육장을 열었다. 여러 차례 TV프로그램에 나오면서 동물원에서 가장 인기 있는 장소가 됐다. 호랑이 사자 일런드(영양류) 등 귀여운 아기 동물을 가까이서 보고 만지려는 관람객이 주말에만 평균 4만 명에 이를 정도다.

이렇게 인기가 높았던 인공포육장이 지난해 12월 초 문을 닫았다. 광복이처럼 인공포육장에서 자란 뒤 동료와 어울리지 못하거나 ‘사고뭉치’로 자라나는 동물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특히 늑대 코요테 등 갯과 육식동물이나 침팬지 오랑우탄 등 유인원 사이에서 인공포육장 출신 동물의 ‘왕따’ 문제가 연이어 발생했다. 어경연 서울대공원 동물연구실장은 “광복이처럼 사람 손에서 자란 새끼와 어미 사이의 소통 문제로 많은 동물원이 골치를 앓고 있다”며 “사람의 손을 많이 탈 수밖에 없는 집단적인 인공포육장은 아예 없애는 게 낫다고 결론 내렸다”고 설명했다.

동물원을 단순한 놀이 공간이 아니라 ‘종 보전’ 중심지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서울대공원의 장기 계획도 이번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최대한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새끼를 길러 ‘동물 복지’를 높이겠다는 것. 현재 서울대공원 동물원은 어미가 새끼 양육을 포기하는 경우 해당 동물관의 사육사들이 개별적으로 보살피고 있다. 유인원관 우경미 사육사(35·여)는 “버림받은 새끼라도 어미와 철창 하나를 사이에 둔 가까운 공간에서 냄새와 언어를 익히며 생활하고 있다”며 “어느 정도 자란 뒤 합사할 때 큰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인공포육장 자리에는 얼마 전 ‘종 보전 교육관’이 들어섰다. 이곳에서는 반달가슴곰 여우 삵 등 토종 야생동물의 종 보전 사업을 홍보하고 있다. 슬로로리스(동남아시아산 원숭이), 중국산 남생이 등 밀수입 과정에서 적발된 외국 야생동물도 보호 중이다. 노정래 서울대공원 동물원장은 “단순히 인기나 수익만 생각하면 인공포육장을 그대로 두는 것이 훨씬 낫다”며 “그러나 종 보전과 동물 복지 증진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를 위해 더 늦기 전에 나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철호 기자 irontiger@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