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1월 넷째주 ‘창조국방’ 업무보고… 軍도 사물인터넷-빅데이터 활용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1월 16일 03시 00분


코멘트

병사들 실시간 정보로 작전수행

미래 전쟁에 대비하는 군의 작전 밑그림이 나왔다. 국방부는 생활 속 사물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사물인터넷(IoT)과 빅데이터를 무기에 적용하고 작전 영역을 육해공뿐만 아니라 사이버와 우주로 넓히는 ‘5차원 전쟁’에 본격 대비키로 했다. 15일 복수의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국방부는 다음 주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정책 목표를 ‘창조국방’으로 이름 붙여 제시할 예정이다. 박근혜 정부의 핵심 기조인 ‘창조경제’와 부처·기업 간 협업을 군에 적용해 안보 시너지를 극대화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사물인터넷을 군에 적용하면 모든 전투 구성원이 네트워크로 연결돼 지상전뿐 아니라 해·공군전에서도 실시간으로 아군 및 적군 정보를 공유하며 유기적인 통합작전으로 적을 타격할 수 있다. 기존 ‘네트워크 중심전(NCW)’이 지휘소, 전차 등 대형 기지나 장치 위주인 것과 달리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네트워크전은 스마트폰 등 소형 정보통신 기기를 활용해 각 병사까지도 효율적으로 전투에 대처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병사가 적진으로 이동할 때 전투 헬멧의 바이저(헬멧 눈앞에 오는 투명창)에 지형 정보와 아군 및 적군의 위치, 전력상황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작전을 수행하는 것이다. 전투와 관련된 정보는 군 위성사진을 비롯해 전투기, 무인기, 함정, 중앙지휘소 등에서 종합적으로 받는다.

현재 미군 스트라이커 부대(신속대응군) 일부가 병사 단위의 네트워크전을 시험 운영하고 있다. 일부 전차에는 군 위성을 활용해 아군을 식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블루포스 트래커(아군 추적기)’를 장착하고 있다. 양욱 한국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은 “작전 영역을 사이버와 우주로 확장하는 것은 늘어나는 북한의 사이버전 및 전자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의미도 있다”고 분석했다.

특정 도시 지역의 빅데이터 데이터베이스(DB)를 활용해 시간대별 기후 등을 감안한 세부 작전계획을 수립할 수도 있다. 정부 소식통은 “이런 과제를 구체적인 사업으로 진행하는 데는 최소 7, 8년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실제 사업화에 필요한 예산 장벽을 넘어야 한다. 실질적인 우주공간 활용 능력을 갖추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도 필요할 것으로 평가된다. 또 사물인터넷으로 군 장비가 모두 연결되면 북한군의 해킹에 노출될 수도 있는 만큼 철저한 대책이 함께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성택 기자 neone@donga.com
#국방부#창조국방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