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진호 어문기자의 말글 나들이]과메기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11월 13일 03시 00분


코멘트
손진호 어문기자
손진호 어문기자
‘원조 과메기 청어가 돌아왔다.’ 경북 포항 구룡포에서 올해 본격적으로 ‘청어(靑魚) 과메기’를 만들기 시작했다고 알리는 글이다.

과메기. 겨울철에 청어나 꽁치를 해풍이 부는 덕장에서 얼리고 녹이기를 반복하며 만들어내는 별미다. 생미역이나 다시마를 곁들여 초고추장에 찍어 먹을 때의 그 맛이란…. 문인수 시인은 과메기를 ‘저 해와 달의 요리’라며 ‘고단백의 찰진 맛에 먼 봄의 비린내가 살짝 풍긴다’고 예찬했다.

과메기라는 명칭은 청어의 눈을 꼬챙이로 꿰어 말렸다는 관목(貫目)에서 나왔다. ‘관목이’로 부르다가 ‘관메기’로 변하고 ㄴ이 탈락하면서 과메기로 굳어졌다. 건청어(乾靑魚)라고도 한다. 과메기는 지방 특산물이 전국상품이 된 사례 중 하나다. 그런데 이상하다. 사람들은 왜 지난해까지 즐겼던 꽁치 과메기 대신 청어 과메기를 원조라며 반길까.

과메기는 원래 청어로 만들었다. 청어는 일찍이 ‘선비를 살찌우는 생선’이라는 뜻에서 비유어(肥儒魚)라는 별명까지 얻었다. 어획량이 줄어든 1960년대부터 꽁치 과메기가 보편화됐다. 그러다 올 들어 청어가 많이 잡히고, 소비자들도 원양에서 잡은 꽁치보다 국내산 청어로 만든 과메기를 선호하면서 청어 과메기가 옛 명성을 되찾게 된 것. 과메기의 사전 뜻풀이도 이런 변화를 수용하고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은 ‘꽁치를 차게 말린 것(경북)’에서 ‘청어나 꽁치를 차게 말린 것(경북)’으로 수정했다. 그런데 ‘차게 말린 것’이라는 뜻풀이는 뭔가 부족하다. 얼리면서 말리는데 말이다.

또 하나. 과메기를 경북지역 사투리로 묶어 두고 있다는 점이다. 표준국어대사전이 1999년 모든 국어사전이 강원도 등지의 사투리로 규정한 ‘골뱅이’를 표준어로 삼은 것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현대 서울말’이 아니라는 이유로 많은 방언들을 표준어와 차별해온 것은 우리 언어 정책의 실책 중 하나다. 삶의 향기가 배어 있는 방언에 오늘의 숨결을 불어넣을 방법을 고민할 때다.

과메기는 이명박 대통령 시절에 더 각광을 받았다. 그가 포항 출신이어서다. 김영삼 대통령은 거제도 멸치를 선물로 많이 사용했고, 김대중 대통령 시절엔 국회에서 흑산도 홍어 파티가 벌어지기도 했다. 올 포항구룡포과메기축제가 15, 16일 구룡포과메기 문화거리에서 열린다. 가을 달빛 아래에서 먹는 과메기는 과메기가 아니다. 행복이다. 권커니 잡거니, 친구여 또 한잔!

손진호 어문기자 songbak@donga.com
#과메기#청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