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영화’ 구세주인가, 지배자인가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10월 9일 03시 00분


코멘트

CGV 다양성영화관 무비꼴라쥬 개관 10년 빛과 그림자

누군가는 ‘다양성 영화’ 시장 성장의 ‘1등 공신’으로, 다른 누군가는 예술영화계의 ‘공룡’으로 부른다. 멀티플렉스 CGV의 다양성 영화 브랜드 무비꼴라쥬(무꼴)가 29일 열 돌을 맞는다.

무꼴은 규모나 성과 면에서 눈에 띄는 성장을 했다. 예술영화, 독립영화, 저예산영화 등 다양한 영화를 고루 선보이겠다는 목표로 전신인 ‘인디영화관’ 운영을 시작할 때만 해도 3개 상영관에 불과했지만 현재 무꼴 전용관은 19개에 이른다. 개관 초 5만9000명 남짓했던 연간 관객도 올해는 8월 말까지 84만7000명을 넘어서 연말이면 100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무꼴은 다양성 영화 시장의 절대강자다. 목 좋은 멀티플렉스 한쪽에 자리 잡은 무꼴 전용관에 작은 영화가 상영되는 건 백화점 입점과 비슷한 효과를 낸다. 한 영화 수입사 관계자는 “작은 영화는 워낙 관객이 적다 보니 홍보나 마케팅에 돈을 쓰기가 어려운데 무꼴에 걸리면 영화를 멀티플렉스에 계속 노출할 수 있어 홍보 효과가 크다”고 전했다.

‘지슬’(2013년)과 ‘한공주’(2014년)의 흥행이나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2014년) ‘그녀’(2014년) 등 국내에 불었던 이른바 ‘아트버스터’ 열풍 뒤엔 무꼴이 있었다. 1만 명만 들어도 성공이라는 다양성 영화 시장에서 관객 10만 명을 돌파한 ‘마지막 4중주’(2013년)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2013년) ‘인사이드 르윈’(2014년)의 경우 전국 관객의 약 50%가 무꼴 관객이었다. 편장완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교수는 “과거에는 다양성 영화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졌다. 무꼴이 다양성 영화 대중화에 기여한 부분은 긍정적으로 평가받을 만하다”고 했다.

하지만 영화계에는 “다양성 영화조차 대기업 브랜드인 무꼴이 독점하는 게 아니냐”는 시선도 존재한다. 한 다양성 영화 상영관 관계자는 “운영 시간이나 시설에서 단관 상영관은 멀티플렉스를 따라잡기 힘들다. 소수의 다양성 영화 팬들마저 무꼴 전용관을 찾다 보니 우리는 더 어려워졌다”고 토로했다. 무꼴은 올해부터 ‘우아한 거짓말’ ‘한공주’ ‘도희야’ 등 영화 투자와 배급에도 뛰어들었다. 조성진 CGV 홍보팀장은 “좋은 다양성 영화를 발굴하고 유통해 전체 시장을 키우자는 취지”라고 밝혔다. 하지만 한 영화계 관계자는 “한 기업의 계열사가 투자 배급 상영까지 할 경우 다양성 영화 시장의 다양성을 확보하기 어려워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CGV는 10주년을 맞아 다음 달 1일부터 브랜드 이름을 무꼴에서 ‘아트하우스’로 바꾸고 다양성 영화계의 상생 방안을 내놓을 계획이다.

구가인 기자 comedy9@donga.com
#CGV#무비꼴라쥬#다양성 영화#무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