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통법 시행 첫날… “보조금 하루새 20만원 줄어 허탈”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10월 2일 03시 00분


코멘트

매장 찾은 고객들 불만 쏟아져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시행 첫날인 1일 최성준 방송통신위원장(왼쪽)이 서울 용산구 아이파크몰의 이동통신사 대리점을 찾아 관계자들의 이야기를 듣고 있다. 김미옥 기자 salt@donga.com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시행 첫날인 1일 최성준 방송통신위원장(왼쪽)이 서울 용산구 아이파크몰의 이동통신사 대리점을 찾아 관계자들의 이야기를 듣고 있다. 김미옥 기자 salt@donga.com
“설마 오늘 개통하시게요? 어제 오셨어야죠.”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시행 첫날인 1일 서울 동작구 동작대로에 있는 한 이동통신사 대리점에 들어서자 직원이 대뜸 이렇게 말했다. 그는 출고가 89만9800원인 ‘갤럭시S5’와 ‘G3’를 꺼내 보이며 “어제까진 30만 원 이상 드렸는데 오늘부턴 월 10만 원짜리 요금제에 가입해도 기기 값은 10만 원 정도밖에 지원이 안 된다”고 말했다.

단통법이 시행되면서 전국 이통사 직영대리점 및 판매점을 찾은 고객들은 “보조금 평등이 아닌 보조금 하향평준화다” “누구를 위한 법인지 모르겠다”는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특히 알뜰폰사업자(MVNO)인 미디어로그(LG유플러스 자회사)가 중국 화웨이 ‘X3 LTE-A’를 30만 원대에 내놓으면서 단통법을 계기로 중국 업체들의 파상공세가 시작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 시행 첫날 고객 불만 폭주

이날 서울 서초구 서초대로 강남역 지하상가 내 KT 판매점은 평소와 달리 한산했다. 전날 오후 찾았을 때는 긴 줄이 늘어서 있던 매장이다. ‘마지막 특가 할인 혜택’ 등 매장 주위에 가득했던 광고지들도 사라졌다. 이 매장 직원은 “본사에서는 친절, 고객 만족 서비스 등으로 마케팅을 하라지만 보조금 10만 원으로 고객을 유치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KT가 공시한 애플 아이폰5S(32GB 모델) 출고가는 94만6000원. 소비자들은 2년간 9만7000원 요금제를 유지해야 보조금 15만9000원을 받아 78만7000원에 살 수 있다. 현재 온라인 애플스토어에서는 같은 모델 공기계가 79만 원에 팔리고 있다. 한 누리꾼은 “매달 10만 원 가까운 ‘호갱(호구+고객을 합친 신조어) 요금’을 낼 바엔 차라리 공기계를 사겠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포털 사이트에선 ‘단통법 반대 서명’도 진행 중이다.

SK텔레콤은 이날 0시 지원금을 공시한 다른 사업자들과 달리 오전 10시가 넘어서야 지원금을 공개해 현장에서 혼란이 빚어졌다. 일부 판매점들은 오전 10시 반이 넘은 시각까지 SK텔레콤 단가표를 받지 못해 고객들을 그냥 돌려보냈다.

최성준 방송통신위원장은 이날 오후 서울 용산구 아이파크몰 휴대전화 매장을 둘러본 뒤 “처음 생각보다 지원금이 낮은 것 같다”며 “지금은 초창기지만 두 차례 정도 사이클(1주일에 한 번씩 보조금 공시)이 돌아가면 안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 중국 화웨이 ‘X3’에 문의 줄이어

저렴한 중저가 외산폰 및 알뜰폰으로 발길을 돌리는 소비자들도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30일부터 국내 시장에서 판매를 시작한 중국 화웨이 ‘X3’의 출고가는 52만8000원. 알뜰폰 시장에서 처음 나온 LTE-A 기기지만 기존에 팔리던 G프로나 갤럭시뷰 등 다른 알뜰폰들과 가격이 비슷하다. 특히 월 4만∼5만 원짜리 LTE 요금제를 2년 약정으로 사용하면 17만∼18만 원을 지원해 소비자들은 35만∼36만 원이면 살 수 있다. 이보다 구형 제품인 팬택 ‘베가 넘버 식스’는 KT에서 9만7000원짜리 요금제를 선택해 보조금을 받아도 X3보다 5만 원가량이 비싸다.

미디어로그는 지난달 30일 X3 초기 물량 수백 대를 확보해 이날 각 유통채널로 보냈다. 미디어로그 관계자는 “X3의 경우 LTE-A폰임에도 ‘메이드 인 차이나’라는 한계 때문에 가격을 낮게 책정했다”며 “벌써 X3 사용 후기가 온라인에 올라오는 등 당초 예상보다 반응이 더 뜨겁다”고 전했다.

통신업계에서는 비정상적인 보조금에 철퇴를 가하겠다고 만들어진 단통법이 결과적으로는 국산 기기들의 가격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꼴이 됐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업계 관계자는 “앞으로 중국을 위시한 해외 기기들의 국내 시장 공략이 점차 거세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 단통법 시행 전 재고 밀어내기

단통법이 시행되기 전날인 지난달 30일 각 판매점은 개통 마감 시간을 오후 8시에서 10시로 연장하고 ‘퀵 배송’까지 동원하며 막바지 고객 유치에 열을 올렸다. 일부 대리점은 퀵서비스 기사를 동원해 기기를 확보하기도 했다.

실제 지난달 30일 이동통신 3사 간 번호이동 가입자는 5만318건으로 정부가 ‘시장 과열 기준’으로 삼는 하루 평균 2만4000건의 두 배가 넘었다. 지난달 22∼27일 번호이동 가입자는 하루 평균 2만4316건이었다.

김재형 monami@donga.com·김지현 기자
#단통법#보조금#개통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