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허승호]영화산업 좌파의 자기모순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2월 10일 03시 00분


코멘트
작년 12월 복합영화상영관 CJ CGV는 계열사인 CJ E&M이 투자 배급한 ‘집으로 가는 길’을 극장에서 내리기 시작했다. 경쟁사인 N.E.W가 투자한 ‘변호인’을 걸기 위해 눈물을 머금고 내린 결정이었다. ‘집으로 가는 길’도 185만 관객을 끈 흥행작이지만 ‘변호인’의 폭발적 관객동원 실적을 외면할 수는 없었다. N.E.W는 이 영화 덕분에 작년 12월 29일 CJ E&M을 누르고 한국영화 연간 흥행 1위에 올랐다. 순수 영화자본이 대기업을 배후에 둔 거대자본을 누른 사건이었다.

▷세상에 영화만큼 국경의 장벽이 낮은 산업도 없다. 전 세계에서 자국영화 점유율이 50%가 넘는 나라는 미국 인도 중국 일본 한국 등 5개국뿐이라는 사실도 이를 뒷받침한다. 정부의 스크린쿼터 축소 조치에 항의해 영화인들이 극장에 뱀을 푼 것이 2006년 초다. 할리우드와 경쟁할 자본이나 시장을 갖춘 것도 아니고, 나라 전체가 영화에 올인한 것도 아닌데 몇 년 만에 이런 경쟁력을 확보했다는 사실은 놀랍고 대견하다.

▷한국 영화산업 성장의 가장 큰 요인은 경쟁을 피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 하나를 든다면 복합영화상영관의 확산이다. 한 극장에 여러 영화를 거는 멀티플렉스 이후 관객들은 맘 편하게 극장을 찾았다. 그 덕분에 CJ, 쇼박스, 롯데엔터테인먼트 등 수백억 원을 지를 수 있는 자본도 형성됐다. 하지만 아직도 국내 시장을 지키는 정도이고 미국의 디즈니, 중국의 완다 등과 경쟁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문화시장에서도 국제경쟁력을 가진 기업이 필요하다.

▷문화는 ‘현실 고발’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다른 나라에서도 대부분 진보 성향이 주류를 이룬다. 문화산업 중 가장 자본주의적이라는 영화에서도 좌파의 입김이 드세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오래전부터 ‘불공정 내부거래가 없는 한 수직계열화는 문제 삼지 않겠다’는 방침이 확고하다. 하지만 영화계에서는 투자-배급-상영을 아우르는 수직계열화를 규제하자는 좌파의 주장이 계속 나오고 있다. 대외경쟁력을 생각하면 영화자본의 몸집 키우기가 시급한데도 말이다.

허승호 논설위원 tiger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