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에 묻힌 중국군 유해 425구… 60여년만에 고향으로 돌아간다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12월 20일 03시 00분


코멘트

朴대통령 방중때 제안… 최종 합의
정부, 방공구역 갈등 돌파구 기대

한중 양국이 경기 파주시 적군묘지에 안장된 중국군 유해 425구 송환에 최종 합의함에 따라 국방부가 19일 유해 발굴 개토식을 개최하고 본격적인 유해 발굴 작업에 들어갔다. 사진은 ‘중국군 무명인’이라고 쓰인 묘비가 놓여 있는 모습. 동아일보DB
한중 양국이 경기 파주시 적군묘지에 안장된 중국군 유해 425구 송환에 최종 합의함에 따라 국방부가 19일 유해 발굴 개토식을 개최하고 본격적인 유해 발굴 작업에 들어갔다. 사진은 ‘중국군 무명인’이라고 쓰인 묘비가 놓여 있는 모습. 동아일보DB
한국과 중국 양국은 경기 파주시 적군묘지에 안장된 중국군 유해 425구 송환에 최종 합의했다. 이에 국방부는 19일 적군묘지에서 유해 발굴 개토식(開土式)을 개최하며 본격적인 유해 발굴 작업에 들어갔다.

국방부는 이날 “중국군 유해 송환을 위해 한중 양측은 수차례 실무협의를 했고 이달 초 최종 합의에 도달했다”며 “인도주의 차원에서 계획된 일정에 따라 우호적으로 차질 없이 유해 송환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박 대통령은 6월 29일 베이징(北京)의 칭화대(淸華大) 연설 직전 칭화대 출신 류옌둥(劉延東) 부총리와 10분간 환담하면서 중국군 유해 송환을 제안한 바 있다.

정부는 제네바협약 정신에 따라 1996년 전국에 산재한 적군묘를 모아 남방한계선에서 불과 5km 떨어진 경기 파주시 적성면 답곡리에 5204m²(약 1577평) 규모로 적군묘지를 조성했다. 한국 정부는 1981년부터 1997년까지 판문점을 통해 중국군 유해 43구를 중국에 인도했다. 하지만 1997년 마지막 1구 송환을 끝으로 북한이 판문점을 통한 중국군 유해 인도를 거부하면서 송환 작업은 중단됐다.

하지만 박 대통령의 제안 이후 양국 국방부 차원에서 각각 실무단을 구성해 송환 문제를 협의하기 시작했다. 2주 전 최종 합의를 앞두고선 중국 정부 관계자들이 극비리에 한국을 방문해 현지 사정 및 송환 일정을 점검하고 돌아갔다. 외교부 관계자는 “사전에 알려질 경우 북한의 반발 등 송환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어 극비에 부쳤다”고 설명했다.

중국군 유해 발굴 주관은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맡았다. 유해발굴감식단은 6·25전쟁 당시 숨진 중국군 유해를 비롯해 인장, 만년필, 배지, 지갑, 군장류 등 유품을 조속한 시일 내에 중국 측에 인도할 예정이다. 유해 송환과 관련된 제반 준비 작업은 한국에서 지원하되, 중국으로의 송환 작업은 중국 측 책임하에 추진된다.

정부는 이번 중국군 유해 송환이 중국의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ADIZ) 선포로 경색된 한중 관계에 돌파구를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 처음 박 대통령의 유해 송환 제안이 알려졌을 때 중국 언론은 “역사의 상흔을 어루만지는 데 도움이 된다” “한국 대통령, 한국인, 대한민국에 감사한다”며 감사의 뜻을 표시했다.

손영일 기자 scud2007@donga.com
#파주#중국군 유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