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 Talk!카톡!] 전기차 대중화 막는 장애물들

  • Array
  • 입력 2013년 8월 27일 07시 00분


한국GM 스파크EV. 사진제공|한국GM
한국GM 스파크EV. 사진제공|한국GM
한국GM이 오는 27일 순수 전기차 ‘스파크EV’를 선보인다. 기존에 출시된 타사 제품과 비교해 앞선 성능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로써 국내 자동차 메이커들은 모두 전기차 시장에 진출하게 됐다. 르노삼성에서는 SM3 Z.E를, 기아자동차에서는 전기차 레이EV를 앞서 선보인 바 있다.

언뜻 보면 금방이라도 전기차 대중화 시대가 도래 할 것 같아 보이지만 아직 갈 길은 멀다. 미래 시장 선점을 위한 노력이 이제 막 시작됐다고 보는 편이 더 타당할 것이다.

친환경, 낮은 유지비, 저소음의 장점을 지닌 ‘미래형 자동차’ 전기차. 그러나 한국에서 전기차의 앞길은 비포장 도로와 다름없다. 전기차 대중화 시대를 가로막는 장벽은 무엇일까.

일단 전기차 가격이 지나치게 비싸다. 르노삼성의 경우 전기차 가격은 4500만원(SE 기준)이다. 환경부 보조금과 지자체 보조금까지 더하면 1900만원대로 구입할 수 있다고는 하지만 환경부 보조금을 무한정 모든 국민에게 제공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책정된 예산 안에서 가용할 수 있을 뿐이다. 지자체 보조금 역시 마찬가지다. 이른바 전기차 선도 도시로 선정된 10개 시도(제주 서울 대전 광주 창원 영광 당진 포항 안산 춘천)에서만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양산차 업체에서도 아직까지는 전기차를 팔아 이윤을 남길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 전기차의 기본적인 생산 단가가 워낙 비싸기 때문이다. 핵심 부품인 배터리와 모터 기술력이 더욱 발전하고 생산 단가가 낮아지지 않는 한 대중화는 사실상 요원하다.

특히 배터리의 경우 양산차 메이커에서 직접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전문 업체에서 수급하기 때문에 언제쯤 대중화가 이뤄질 수 있을지 양산차 메이커에서조차 쉽게 가늠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프라의 확대도 걸림돌이다. 현재 전국의 충전소는 100여 곳에 불과하고 그마저도 60%%가 서울과 제주도에 국한되어 있다.

현재 상황에서 인프라 확대는 정부 차원의 지원이 유일한 해결책이다. 하지만 아직 시장이 무르익지 않았고, 양산차 메이커에서 직접 전기차 인프라 확대에 투자할 시점도 아니다.

각 메이커마다 전기차의 충전 방식이 제각각이라는 것도 전기차시대의 발목을 잡고 있다. 한국GM은 콤보 방식(220V 가정용 콘센트를 이용한 완속 충전과 충전 콘센트를 단일화한 충전방식), 기아차는 차데모 방식(도쿄전력이 개발한 급속충전기 규격), 르노삼성은 교류3상 방식을 쓰고 있다. 충전 방식의 표준화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인프라 확대는 사상누각에 불과할 따름이다.

전기차의 대중화가 이뤄지려면 뚜렷하고 장기적인 정부 정책, 핵심부품의 생산단가 절감, 충전 방식 표준화, 양산차 메이커의 꾸준한 개발 의지와 실제 시장의 요구 등이 적절하게 맞물려야 한다. 한국의 전기차 시장을 키울 체계적인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원성열 기자 sereno@donga.com 트위터 @serenowon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