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룸/홍수용]두 1941년생의 민원

  • Array
  • 입력 2013년 4월 30일 03시 00분


코멘트
홍수용 경제부 기자
홍수용 경제부 기자
목소리가 기자실 안에까지 들렸다. 배동환 씨(72)는 19일 오후 서울 중구 세종대로 금융위원회 로비에서 직원과 실랑이 중이었다. 배 씨는 ‘담당공무원을 만나게 해 달라’고 했고 직원은 ‘선약이 안 돼 있다’고 했다. 관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안내창구의 풍경이다. 중재 겸 취재 겸 배 씨를 기자실로 안내해 사연을 들어보니 그는 제도권 금융에서 소외된 채 고군분투하는 ‘슬픈 중소기업인’의 전형이었다.

배 씨의 민원은 복합적이었다. 유명 연필회사 부사장까지 지낸 그는 은퇴 후 개인사업을 시작했다. 직장생활을 하며 모은 금융자산과 부동산만 잘 유지하면 노후를 걱정할 필요가 없었다.

하지만 그는 도전을 택했다. 회사를 차린 것이다. 의욕이 넘쳤지만 금융이 발목을 잡았다. 부동산을 담보로 은행 대출을 받고 기술보증기금의 보증까지 받아 자금을 끌어모았지만 한번 연체가 시작되자 은행의 ‘이자 폭탄’이 시작됐다. 연대보증을 선 아내는 신용불량자가 됐다. 신용불량자로 등록되자 연 10% 초반이던 이자율이 최고 연 20%로 치솟았다. 이른바 ‘약탈적 대출’을 직접 느낀 것이다.

그는 또 벤처정신을 인정하지 않는 한국 사회의 분위기를 문제로 꼽았다. 연필회사를 은퇴한 뒤 연필 표면과 꼭지에 캐릭터 그림을 깔끔하게 입히는 기술을 개발해 기술표준원의 인증을 받았다. 일본에 제품을 수출했지만 자금력이 문제였다. 정부가 기술투자를 강조하지만 정작 그를 돕는 투자자는 없었다. 그는 ‘누군가 나의 기업 노하우와 기술을 사 달라’고 호소하고 싶다고 했다.

배 씨와 같은 1941년생인 강계화 씨는 운이 좋았다. 경기 구리 농수산물도매시장에서 배추를 팔던 그녀는 이명박 전 대통령이 2010년 시장을 찾았을 때 대통령에게서 청와대 시계를 선물로 받아 언론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다. 이 전 대통령은 “힘들면 미소금융에 가 보시라”고 조언했고 강 씨는 500만 원을 일사천리로 빌렸다. 지금 강 씨는 여전히 어렵다. 대통령이 다녀간 그날 이후 공무원을 만난 적도, 제대로 된 금융상담을 은행에서 받은 적도 없다. 강 씨는 미소금융이 고맙긴 하지만 ‘빚내서 빚 갚는’ 악순환 고리를 끊을 근본 해결책이라고 생각지는 않는다. 당국에서 돈 잘 빌려 잘 쓰는 방법을 알려주면 좋겠다고 했다.

한국의 관청은 배 씨와 강 씨가 제기한 것과 같은 민원을 귀찮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 너무 포괄적이거나 사소해 보여서다. 배 씨가 먼저 찾아간 금융감독원에선 “금융위에 가보라” 했고 바쁜 금융위에는 막무가내로 보이는 노인의 사연까지 들어주려 하지 않았다. 강 씨에게 관청이나 은행은 여전히 껄끄러운 곳이다. 오죽하면 몇 년 만에 전화한 기자에게 “금리가 낮은 금융대출을 소개해 달라”고 했을까. 금융당국과 은행은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려 동분서주하고 있다. 멀리 갈 것 없다. 민원인의 애달픈 호소에 답이 있다.

홍수용 경제부 기자
#벤처#대출#투자자#금융감독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