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속의 이 한줄]<끝>창조경제 궁금하면 생태계 엔지니어인 비버에게서 배워라

  • Array
  • 입력 2013년 4월 17일 03시 00분


코멘트

“탁월한 아이디어를 찾으려면 아이디어와 창조의 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

―탁월한 아이디어는 어디서 오는가 (스티븐 존슨 지음·한국경제·2012)

창조경제의 밑거름을 만드는 창의성과 혁신의 원천인 아이디어는 어떻게, 어디로부터 얻을까? 스티븐 존슨은 ‘연결’을 위한 플랫폼, 즉 아이디어와 창조의 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생태계는 누가, 어떻게 만들까. 그 답은 생태학자들의 최근 40년 동안의 연구에서 얻을 수 있다. 이들은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생물을 ‘핵심종’이라고 부른다. 이것의 대표적 사례는 ‘생태계의 엔지니어’라 불리는 비버(beaver)이다.

비버는 포플러와 버드나무를 베어 댐을 만들어 온대림을 습지로 바꿔 놓는다. 그러면 수많은 동물들이 그 습지로 모여든다. 도가머리딱따구리는 비버가 베어내어 죽은 나무에 구멍을 뚫어 보금자리를 만들고, 캐나다기러기는 버려진 비버의 굴에 자리를 잡는다. 사실 비버는 천적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댐을 만들었지만 그 행위는 다양한 생물들이 모여 사는 플랫폼을 만들어냈다. 비버 같은 역할을 해줄 핵심종이 인간에게는 없을까? 사람들이 만드는 혁신의 온상은 ‘물리적 공간’의 플랫폼이다. 실리콘밸리의 홈브루 컴퓨팅클럽, 빈 베르크가세 19번지에 있는 프로이트의 집에서 열렸던 수요모임, 18세기 영국의 커피하우스 등은 모두 작은 규모의 플랫폼이었다.

그런데 영국의 커피하우스가 어떻게 혁신의 플랫폼이 된 것일까? 당시 에드워드 로이드와 윌리엄 언윈 같은 커피하우스 소유주들이 만든 공간에서 사람들은 서로 다른 생각들을 자유롭게 주고받으면서 이곳을 ‘아이디어의 장(場)’으로 만들었다. 지금 우리는 창조경제에 눈을 뜨고 있다. 과거 과학과 기술을 바탕으로 한 산업화의 성공을 통해 성장한 대한민국이 지식과 정보를 바탕으로 한 ‘창조경제’를 통해 제2의 도약을 꿈꾸고 있다.

산업화는 투입에 생산 효율을 곱하면 산출이 계산되어 나오지만, 지식 창조경제는 플랫폼을 통해 예측할 수 없는 결과물들이 쏟아져 나온다. 이를 위해서는 비버처럼 혁신 생태계에 기여하는 플랫폼을 만드는 이가 많아져야 한다.

서진영 자의누리경영연구원 원장
#창조경제#비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