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김창원]‘우주실험실’ 일본의 24년 투자

  • 입력 2009년 7월 21일 02시 57분


인류의 달 착륙 40주년을 하루 앞둔 19일 일본 열도는 그들이 손수 이룬 ‘또 다른 쾌거’로 한껏 달아올랐다. 일본은 지상 400km에 떠있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독자적인 우주실험실을 갖춘 다섯 번째 국가가 됐다. 일본 우주비행사 와카타 고이치(若田光一) 씨는 이날 미국 우주왕복선 인데버호에 실려 온 ‘선외(船外)실험실’을 이미 가동 중이던 우주실험실 ‘기보’에 한 치 오차 없이 부착시키는 데 성공했다. 1985년 이 계획을 수립한 지 24년 만이다. 기보는 ISS의 우주실험실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크다. 일본 우주항공개발기구는 종전의 연구개발 중심의 우주개발을 신약개발 등 조만간 상업화가 가까운 기술개발에 진력한다는 계획이다.

일본의 우주개발 노력은 필사적이다. 미국 러시아 등 우주개발 1세대 국가에 비해 출발은 늦었지만 신(新)우주강국 경쟁에서는 뒤지지 않겠다는 의욕을 보이고 있다. 2007년 9월 일본의 첫 번째 달 탐사 위성 ‘가구야’는 아시아 신흥 우주강국으로서 입지를 굳히는 신호탄이었다. 일본은 같은 해 2월 위성 4기로 이뤄진 군사용 정찰위성 시스템을 구축해 북한 핵미사일을 24시간 추적, 감시할 수 있는 인프라도 갖췄다. 지금 지구 상공에는 일본이 쏘아올린 수십 개의 위성이 지구 궤도를 돌며 기상 및 대기환경에 관한 갖가지 귀중한 정보를 보내오고 있다.

일본은 단지 우주기술을 개발하는 데만 그치지 않았다. 지난해에는 일본 의회가 우주를 군사적 목적으로 체계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우주기본법을 통과시켰고, 일본 정부는 총리를 수장으로 하는 우주개발전략본부를 출범시켰다. 범정부 차원의 총력전이 숨 가쁘게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1990년대 들어 뒤늦게 우주개발에 뛰어든 한국은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적지 않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 1992년 한국 최초의 인공위성 ‘우리별 1호’에 이어 지난달에는 세계에서 13번째로 우주발사장을 보유한 나라가 됐다. 다음 달엔 국내 최초의 우주발사체가 발사된다. 하지만 우주개발 선진국에 견줘 기술이나 인력 투자 등 모든 면에서 아직 부족하다. 국민에게 우주개발은 여전히 달나라만큼이나 멀게 느껴지는 것도 사실이다.

우주개발은 과학기술 선진국을 입증하는 선언적 의미에 그치지 않는다. 우주개발 과정에서는 신소재 전자 통신 등 다양한 산업의 기술 진보와 생산성 향상이 일어난다. 앞으로 한국을 먹여 살릴 동력이 우주기술일지 모른다. 우주개발에 범정부적 관심과 투자를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은 이유다.

김창원 도쿄특파원 changki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