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신당 후보 9명 "내가 李의 맞상대"

  • 입력 2007년 8월 27일 19시 25분


코멘트
대통합민주신당은 27일 오후 서울 효창동 백범기념관 컨벤션홀에서 다음달 3~5일 실시될 컷오프(예비경선)를 위한 첫 대선 예비후보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범여권 후보 가운데 지지율 1위인 손학규 후보의 정체성과 정책노선에 대한 공세가 집중됐고, 참여정부 평가를 둘러싸고 친노(親盧)와 비노(非盧) 후보간 논쟁이 벌어졌다. 민주당 분당과 대통합 문제를 놓고도 주자간 설전이 오갔다.

이날 토론회 직전 신기남 이해찬 한명숙 후보 3인은 모 후보측의 선거인단 동원 의혹을 제기하며 불참 가능성을 시사해 한때 '반쪽 토론회'로 전락할 우려가 나왔으나, 당 지도부가 후보-최고위원 연석회의 개최 제안을 수용함에 따라 가까스로 후보 9명 전원이 참석하는 토론회가 이뤄졌다.

토론회에서 천정배 후보는 "손 후보가 위장전입으로 정권을 빼앗아가려 한다는 말이 있다. 민주세력이 얼마나 잘못 했길래 후보를 꿔다가 토론을 해야 하는지 자괴감을 느낀다"고 직격탄을 날렸고, 신기남 후보도 "손 후보의 사상은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와 차별성이 그다지 크지 않은데 어떻게 이 후보를 이기겠느냐"고 물었다.

이에 손 후보는 "열린우리당이 의욕에 차서 출발했는데 왜 결국 문을 닫게 됐는지, 왜 이명박 후보 지지율이 60%를 넘나드는지 반성해야 한다"며 "우리 국민은 경제 살리기와 일자리, 선진국 되기를 원한다. 세상이 바뀌는데 우리도 바뀌어야 한다는 자세로 임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참여정부 평가를 놓고 손 후보는 "참여정부는 깨끗한 정치 구현, 권위주의 타파, 핵폐기장과 미군부지 문제 해결, 유엔 사무총장 배출, 한미 FTA 체결 등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최근 참여정부의 지지율은 바닥이고 열린우리당은 각종 선거에서 전패하고 사실상 문을 닫았다"고 지적했다.

추미애 후보는 "정권초기 대북송금 특검법 통과 등 남북관계를 후퇴시킨 것, 지지세력 분열로 정권을 시작했고 아직도 그 분열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에 대해 모두의 진지한 참회와 반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반면 한명숙 후보는 "참여정부 실패론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낡은 정치 청산, 반칙없는 사회, 정경유착의 고리 청산, 권위주의 해체, 국가균형 발전, 남북문제의 안정적 관리 등에서 성과를 이뤘으나, 소통과 민생에 있어서는 잘못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분당 사과론 및 열린우리당 실패 책임론을 놓고 신기남 후보는 옛 동지인 정동영 후보에게 "열린우리당 실패의 하나가 개혁 정체성의 부족이며, 당 의장을 두 번이나 한 정 후보의 책임이 더 크다"며 열린우리당 당원에 대한 사과를 요구했다.

이에 정 후보는 "신 후보는 대통합을 위해 무엇을 했느냐. 신 후보가 끝까지 열린우리당을 지키겠다고 했으면 신당에 참여하지 않았어야 한다"며 반박하고 "가장 큰 개혁은 대통합이며, 대통합없이 한나라당을 어떻게 이길 수 있느냐"고 반문했다.

유시민 후보는 "대선 끝날 때까지 당에 정체성을 부여하고 영혼을 불어넣기 위해서는 대통령 후보 중심의 강력하고 질서있는 정당을 만들어야 한다"며 대선후보에게 6개월 동안 비상대권을 포함해 공천을 포함한 전권을 줄 것을 제안했으나, 질문을 받은 손 후보는 "동의하지 않는다"며 "미국도 대통령이 공천권을 행사하지 않지만 야당을 설득해가며 국정을 운영하고 있다"고 반대했다.

김두관 후보는 "국민 성공시대를 여는 대통령이 될 것"이라며 "재벌 성공신화를 앞세우는 이명박 후보를 꺾을 후보는 국민 성공시대 김두관뿐이며, 재벌과 서민, 기득권세력과 개혁세력의 대결에서 한나라당 심장부에서 표를 가져올 사람은 김두관밖에 없다. 검색창에서 `김두관'을 쳐보면 답이 나온다"고 주장했다.

이날 토론에서는 손학규-한명숙 후보와 정동영-천정배-추미애 후보가 서로에게 우호적인 질문을 던져 컷오프 통과를 위한 짝짓기 구도의 윤곽을 드러내기도 했다.

토론 모두발언에서 9명의 후보들은 저마다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를 꺾을 맞상대임을 주장했으나, 전체 2시간30분 중 후보 1인당 통틀어 발언할 수 있는 시간은 11분30초에 불과해 부동산, 비정규직, 저출산 대책, 남북관계 현안 등 정책 분야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이뤄지지는 못했다.

디지털뉴스팀·연합뉴스


촬영: 신원건 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