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의 한국’ 옌볜 몰락하나

  • 입력 2007년 8월 18일 03시 01분


코멘트
중국에서 ‘제3의 한국’으로 불려온 옌볜(延邊)조선족자치주가 점차 몰락하고 있다고 홍콩의 인터넷 매체 아시아타임스가 최근 보도했다.

아시아타임스는 개혁개방과 한중수교 이후 조선족사회가 급격한 변화를 겪으면서 조선족자치주가 해체의 길을 걷는 실상을 상세히 전했다.

가장 큰 변화는 자치주 내 조선족 비율이다. 1957년 한때 65%에 달했던 옌볜조선족자치주의 조선족 비율은 최근 37%까지 떨어졌다.

조선족이 줄면서 취학아동도 크게 줄었다. 조선어학교에 취학하는 조선족 아동의 비율은 더욱 크게 줄었고 특히 1996년부터 4년 동안엔 취학률이 절반 이상 뚝 떨어졌다. 이 기간에 조선족 교사의 53%가 학교를 떠나야 했다.

이러다 보니 요즘 조선족 젊은이는 조선어보다 중국의 표준어인 보통화(普通話)를 더 잘 구사한다. 젊은이 사이에선 조선족끼리도 보통화를 사용한다. 이들에게 ‘국사’란 중국사를 의미한다. 30대 이하 젊은이 가운데 춘향전이나 홍길동전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당연히 이들은 한국이나 북한보다 ‘베이징(北京)’에 더 귀속감을 느낀다.

그러나 아시아타임스에 따르면 이 같은 변화를 소수민족에 대한 중국의 교묘한 차별정책 때문으로 보기는 어렵다. 중국 조선족은 미국이나 일본, 러시아 한인에 비해 한국어를 잘 구사한다.

오히려 변화의 원인은 조선족 자신이다. 개혁개방 이후 조선족은 자치주를 떠나 중국 전역으로 퍼졌다. 특히 1992년 한중 수교 이후엔 중국에 진출한 한국인을 따라 동부 대도시로 진출했다. 돈을 벌기 위해 한국에 간 사람도 부지기수다.

조선족은 현재 중국의 55개 소수민족 가운데 2번째로 잘 사는 민족이다. 영아사망률이 낮고 교육수준도 높다.

그러나 한국의 ‘민족주의’ 시각으로 보면 상황은 장밋빛이 아니다. 조선족의 교육의 질이 나아지고 사회적으로 성공할수록 조선족 사회는 성공의 희생자가 되어 해체되고 있다는 게 아시아타임스의 분석이다.

반면 한때 조선족의 민족주의 열정을 경계했던 중국 정부는 이런 조선족 사회의 변화에 안도감을 느낀다고 아시아타임스는 전했다. 시간이 흐를수록 분리운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베이징=하종대 특파원 orionh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