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인천항]<3·끝>中상하이항서 배우자

  • 입력 2006년 2월 28일 06시 38분


코멘트
컨테이너 물동량 세계 3위인 중국 상하이(上海)항과 세계 30위인 인천항은 규모 면에선 비교가 되지 않는다.

21일 상하이 도심에서 60km가량 떨어진 양산항. 지난해 12월 1기 공정에 속하는 5선석(船席·선박이 작업하는 자리)이 개장된 뒤 하역작업이 활발하다.

3000개 섬으로 이뤄진 양산군도의 대, 소양 섬 사이 바다를 매립해 길이 32.5km, 왕복 6차로인 둥하이(東海)대교를 건너야 항구에 도착할 수 있다.

일반차량 출입은 통제됐고 컨테이너를 실은 대형 트럭만이 줄지어 다리를 오갔다. 양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광활한 야적장엔 컨테이너가 4, 5단 높이로 쌓여 있었다.

이 곳의 컨테이너 물동량은 1월에 21만TEU(1TEU는 20피트 짜리 1개)였다. 상하이항 전체의 컨테이너 물동량은 1월 161만TEU로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14% 늘었다.

비수기인 1월에도 물동량이 계속 증가해 상하이는 홍콩과 싱가포르를 누르고 몇 년 안에 세계1위로 올라설 것으로 예상된다.

상하이항 운영을 총괄하는 ‘상하이 국제 항무집단유한공사’ 관계자는 “정부나 시 당국이 항만건설을 중요시했기 때문에 2000년 이후 컨테이너 물동량이 급증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그는 “2000년 시작된 1기 공정(5선석)에는 정부 자금이 주로 투입됐지만 2∼4기 공정에는 외자를 최대한 끌어들이려한다”고 말했다.

상하이항 북쪽의 칭다오(靑島)항, 톈진(天津)항, 다롄(大連)항에서도 컨테이너 전용부두 건설사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이들 항구의 컨테이너 물동량은 인천항보다 2∼5배 많다. 증가율은 지난해 인천항과 비슷한 20.3∼25.9%였다.

이들 3개항은 모두 시설부족에 허덕여 2010년까지 10∼15선석 규모의 부두 증설 공사를 마칠 예정이다. 또 항만 주변에 해외 물류업체가 입주할 보세구역, 물류단지 등 60만∼170만 평의 배후단지를 조성하는 중이다.

중국 항만당국은 항만 운영의 성공 지표로 꼽히는 대형 선사 유치 실적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유인정책을 펼치고 있다.

상하이의 경우 양산항을 세계 물류 중심항구로 육성하기 위해 △화물차량의 둥하이대교 통행료 면제 △국제 환적화물에 대한 물류비용 80∼90% 할인 △내항 연계용 350TEU급 컨테이너 운송선 6척 무료 운항의 혜택을 주고 있다.

최정철 인천경실련 정책위원장은 “한중 간 컨테이너 정기항로 개설이 자유로워진 2003년 6월 이후 중국과의 물동량이 급증하고 있다”며 “수도권에 복합물류단지와 연계된 첨단 항만 신설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19세기 40년의 시차를 두고 외세에 의해 강제 개항된 두 항구는 항만시설을 도심과 가까운 내항에서 바다 쪽 외항으로 뻗어가고 있다. 하지만 상하이항의 항만 건설 속도는 인천보다 훨씬 빨리 진행되고 있다.

상하이=박희제 기자 min07@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