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과 내일/홍찬식]위기의 청소년

  • 입력 2005년 11월 9일 03시 04분


코멘트
‘조선의 소년은 무거운 돌 아래 눌려 있는 풀싹이다. 돌을 제거하지 않고 풀싹을 구한다고 떠드는 것은 눌리어 있는 현상을 교묘하게 옹호하고자 하는 술책에 불과하다.’ 소파 방정환과 함께 어린이날을 제정하고 1920년대 소년운동을 이끌었던 소춘 김기전이 남긴 말이다.

국내 청소년 인구의 21.3%가 ‘위기 청소년(youths at risk)’에 해당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숫자로는 170만 명에 이른다. 위기 청소년이란 ‘학교와 가정생활에서 실패해 성인이 된 후 사회에 온전히 기여하기 힘든 청소년’을 말한다. 쉽게 말해 ‘사회로부터 버려지거나 방치된 아이들’이다. 역사는 반복된다지만 ‘돌 아래 눌려 있는 풀싹’인 청소년의 처지는 80년 전과 별로 달라진 게 없다.

위기 청소년은 세계 각국의 공통된 고민거리다. 인적자원으로 먹고산다는 교육의 모범국가 이스라엘도 청소년 인구의 15%가 위기 청소년으로 집계되고 있다. 청소년들이 78초에 한 명씩 자살을 기도한다는 미국은 청소년의 마약 복용, 10대 미혼모 문제로 ‘이보다 나쁠 수 없는’ 상황이다.

높은 교육열과 끈끈한 가족주의 전통으로 나은 편에 속했던 한국은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급속히 상황이 악화되고 있다. 생활보호 대상의 빈곤 청소년은 1997년엔 24만 명이었으나 지난해에는 93만 명으로 늘어나 100만 명에 육박하고 있다. 이혼 가정의 자녀는 1997년 10만5900명에서 지난해 15만 명으로 41% 증가했다. 자살한 청소년은 1997년 908명에서 지난해 2560명으로 크게 늘었다.

요즘처럼 경제가 어려워 빈곤 계층이 양산되고 가족 해체가 가속되면 위기 청소년은 당연히 늘어날 수밖에 없다. 그래도 청소년 5명 가운데 1명이 위기에 놓여 있다는 사실은 충격적이다. 내 아이를 지나치게 떠받드는 과잉보호가 이뤄지는 한편에서 위기 청소년이 눈 덩이 커지듯 불어나는 현상은 우리 사회의 양극화를 대변한다. 사람들이 주변에서 위기 청소년의 존재를 잘 느끼지 못하는 것은 그들이 그늘 속에 가려 있기 때문이다.

‘학교의 위기’는 위기 청소년에게 설상가상의 악재다. 위기에서 벗어나려면 교육이 거의 유일한 탈출구인데도 일부 교사는 그들을 상대로 이념수업 같은 시대착오적 역할에 골몰하고 있다.

빈곤 청소년에게 절실한 것은 학교교육의 따듯한 배려를 통해 더 큰 실력을 키우는 것이지 편향된 가치관을 주입하는 의식화작업이 아니다. 교사의 영향을 받기 쉬운 여린 감성의 그들이 자기실현을 위한 현실적인 노력을 포기하고 사회에 대한 증오심을 키우다가 빈곤을 대물림하게 될 때 어느 교사가 그들을 책임지겠다고 나설 것인가.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등 교원단체들이 이번에 교원평가제를 못하겠다고 판을 깨고 나선 것은 ‘교사니까 뭔가 다를 것’이라는 환상을 함께 거둬가 버린 효과를 낳았다. 어차피 교원단체도 그들의 권익을 위한 집단일 뿐이다. ‘돌에 눌린 풀싹을 구하겠다’고 떠드는 사이비집단은 많아도 ‘무거운 돌을 제거해 주는’ 진정한 구원자는 찾을 수 없다. 겉으로 학생을 걱정하는 척하며 속으로 자기 손익의 계산기를 두드리는 세력은 과연 없는가.

학교의 위기는 위기 청소년에게 국한된 문제가 아니다. 청소년의 하루는 학교에서 시작해서 끝난다. 모든 청소년에게 해당되는 문제인 것이다. 가뜩이나 부실한 공교육에 입시 과열까지, 어느 나라보다도 청소년의 위기가 심각하다.

김기전은 다음과 같은 글도 남겼다. ‘나무를 보라. 그 줄기와 뿌리 전체는 오로지 그 작은 햇순 하나를 소중히 떠받치고 있지 않은가.’ 누구보다도 전교조 교사들이 꼭 한번 되새겨 볼 말이다.

홍찬식 논설위원 chansi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