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기업간 상생경영]6개 ‘기업도시’가 꿈틀댄다

  • 입력 2005년 11월 3일 03시 12분


코멘트
《도시와 기업 간 상생(相生) 경영의 모델이 될 기업도시 건설사업이 본격화하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003년 10월 기업의 지방 이전 및 투자 유인을 위한 방안으로 ‘기업도시 건설’이라는 아이디어를 제시한 이후 입법 과정을 거쳐 올해 8월 6개 시범사업 도시가 선정됐다.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기업들은 타당성 조사를 하고,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마련하느라 분주한 모습이다.》

○ 기업하기 좋은 도시 만든다

정부는 4월 기업도시 시범사업지역 신청을 받아 △충북 충주 △강원 원주 △전북 무주 △충남 태안 △전남 영암·해남 △무안 등 6곳을 선정했다.

이 가운데 전남 무안은 산업교역형 기업도시로 조성될 계획이다.

무안기업도시개발주식회사와 서우, 남화산업, 무안군 등이 공동 제안했으며 한중 과학기술 산업단지와 항공물류 산업단지 등을 건설할 예정이다.

현대건설과 태안군은 공동으로 태안 기업도시를 제안했다.

태안군 태안읍 천수만 일대 473만 평에 테마파크와 생태공원, 골프장, 학교, 주거단지 등을 조성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금호아시아나, 대림산업, 롯데건설, 한국관광공사, 한화국토개발로 구성된 전경련 컨소시엄 등 국내외 15개 기업도 해남과 영암 일대에 서남해안 관광레저형 기업도시를 건설하기로 했다.

이들은 모두 10조5241억 원을 투자해 테마파크 외에 F1 자동차 경기장, 호텔, 골프장, 카지노 등을 지을 계획이다.

충주에는 지식기반형 기업도시가 들어선다.

포스코건설, 이수화학, 동화약품 등 기업과 충주대, 건국대 충주캠퍼스, 극동정보대 등 교육기관이 공동으로 연구개발(R&D)단지와 종합병원을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이 밖에 한독산학협동단지와 국민은행 등은 원주에 지식기반형 기업도시를, 대한전선은 무주에 관광레저형 기업도시를 각각 조성한다.

○ 기업도시 효과는?

전경련의 기업도시 건설 제안은 장기 투자를 활성화시켜 수출 중심의 불균형 성장과 내수 부진을 극복하자는 취지에서 비롯됐다. 일자리 창출로 기업과 도시가 상생하는 1석2조의 효과를 노린 것이다.

또 1인당 국민소득 2만 달러 시대를 앞당길 수 있는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다는 게 전경련의 구상이다.

이에 따라 전경련은 지난해 6월 기업도시와 관련한 특별법 제정을 건의했으며 지난해 말 기업도시개발특별법이 제정, 공포됐다.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6개 시범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되면 37조7266억 원의 생산, 6조6681억 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생길 것으로 추산된다.

또 고용 유발효과도 41만5000명에 이를 것으로 정부는 내다보고 있다.

지역별 고용 유발효과는 △무안 5만8000명 △충주 3만 명 △원주 2만3000명 △무주 3만7000명 △태안 3만8000명 △영암·해남 22만9000명이다.

○ 기업도시 성공 조건

기업도시 시범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우선 시범사업자로 선정된 6개 지역의 참여 기업들은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세우고 타당성 조사를 마쳐야 정식사업자로 선정돼 개발사업에 본격 착수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공청회와 사전환경성 검토, 환경영향평가 등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실제 착공 시기는 당초 계획보다 더 늦어질 수 있다.

결국 정식사업 전에 시범사업이라는 단계를 둔 탓에 기업으로서는 이중, 삼중의 절차를 겪어야 한다는 게 참여 기업들의 지적이다.

또 시범사업 계획이 알려지면서 해당 지역의 땅값이 오르는 것도 문제다.

대기업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도 고민할 대목이다.

당초 주요 대기업들은 산업교역형 기업도시 건설에 관심을 보였으나 이들이 원했던 지역이 대부분 대상에서 제외됐다.

이에 따라 재계에서는 기업도시 선정기준을 좀 더 유연하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김현아 부연구위원은 “전경련이 당초 기업도시를 제안했을 때에는 투자활성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으나 법제화 과정에서 지역균형개발이라는 개념이 강조되면서 기업보다는 지자체가 주도하는 모양새가 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자체는 ‘개발’ 이후에 기업도시가 잘 운영될 수 있도록 관련 인프라를 조성하는 데 역점을 둬야 한다”고 조언했다.

클릭하면 큰 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

차지완 기자 ch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