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권방(權放)유착’ 공영방송의 악취

  • 입력 2005년 8월 24일 03시 05분


코멘트
KBS, MBC가 ‘국민의 전파’를 이용해 사리사욕을 채우는 행태를 드러내고 있다. MBC 간부와 기자들이 인력송출 브로커에게서 금품과 향응을 받은 혐의로 검찰의 수사를 받고 있다. KBS 간부와 PD들이 드라마 납품 외주 제작사에서 수천만 원대의 금품을 제공받았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두 방송사가 최근 음란 패륜 방송을 내보낸 뒤 “책임을 통감하며 방송의 공익성을 강화하겠다”고 사과성명을 낸 지 보름도 안 된 상황이다.

강제성을 띤 시청료로 운영되는 국가 기간(基幹)방송 KBS와 공영방송의 소유구조를 지닌 MBC에 엄격한 공공성과 공익성이 요구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럼에도 국민의 재산인 전파를 매개로 잇속을 챙겼다면 ‘공익성 강화’는 빈말일 뿐이다.

두 방송사가 올해 들어 20차례 이상 사장과 제작진 명의로 사과문을 낼 만큼 잇따라 ‘사고’를 낸 것은 우발적이라고 볼 수 없다. 정치권력과 밀착해 시청자 주권(主權)과 사회공익을 무시해 온 ‘방송권력’의 도덕적 해이가 낳은 필연적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들 방송사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한 차례씩 ‘과거정권의 나팔수 노릇을 해 온 과오’를 반성하고는, 금세 살아있는 권력 편에 서서 ‘코드 방송’을 쏟아내는 행태를 반복해 왔다. 그럼에도 방송사를 규제 감시해야 할 방송위원회는 대통령 탄핵 관련 불공정 방송에 대한 심의까지 포기할 정도로 ‘같은 코드’를 보여 왔다. 현 정권 2년 반 동안의 ‘권방(權放)유착’은 보도의 편향성, 경영의 방만성, 오락프로그램의 저질성, 그리고 구성원들의 타락과 결코 무관하다고 보기 어렵다.

정부는 공영방송의 ‘충성’에 답례하듯 방송사들의 수익을 올려 주기 위해 간접광고와 가상광고를 허용할 방침이다. 이제 시청자들은 자신들의 재산인 전파를 악용당하고도 시청료와 함께 대폭 오른 광고비를 부담해야 할 판이다. 양심 있는 방송인들은 시청자들이 전파회수(回收)운동에 나서기 전에 방송 바로잡기에 나서야 할 것이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