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갈피 속의 오늘]1997년 위안부 훈 할머니 귀국

  • 입력 2005년 8월 4일 03시 12분


코멘트
고대 그리스인들은 사람이 죽으면 이승의 기억을 지우기 위해 저승의 다섯 강 중 하나인 레테(망각의 강)의 물을 마신다고 믿었다. 반대로 영혼이 눈물의 골짜기(현세)로 돌아오기 위해선 역시 이 강을 건너야 했다.

한국인으로 일본인의 아내였던 훈 할머니. 그는 망자(亡者)처럼 생사를 오간 것은 아니었지만 차라리 죽음보다 못한 삶의 수렁에서 자신의 모든 것을 스스로 잊어버려야 했다.

1942년 18세의 꽃다운 나이에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와 이역만리 캄보디아에서 보낸 지옥 같은 날들.

1945년 일본군 장교 다다쿠마 쓰토무를 만난 것은 그나마 불행 중 다행이었다. 난생 처음 겪는 ‘짐승들’을 더 이상 상대하지 않아도 됐기 때문이다.

다다쿠마가 지어 준 이름은 하나코(花子). 하지만 꽃처럼 화사했던 여인에게 그가 남긴 것은 아비 없는 핏덩어리와 굴욕의 세월이었다.

일제가 물러가자 주둔한 프랑스군은 일본과 관련된 사람은 모조리 처형에 나섰다. 이어 정권을 잡은 크메르 루즈는 외국인이라면 무차별 학살했다.

이에 만삭의 몸을 이끌고 정글로 피신한 여인은 진흙탕에서 첫딸 카오를 낳았다. 누가 들을까 신음 소리조차 내지 못한 채 세상에 내놓았지만, 어미보다 먼저 저세상으로 떠난 가엾은 딸이었다.

이런 와중에 모진 목숨이나마 부지하기 위해선 이름도, 말도, 가족도, 고향 산천도 머릿속에서 깡그리 지워버리는 것 외에는 달리 할 일이 없었다.

그래도 생명은 끈질긴 것이어서 여인은 캄보디아인과 재혼해 두 딸과 아들을 낳았다. 이 역시 행복은 그리 오래가지 못했다. 아들은 킬링필드 때 잃었고, 충격을 받은 남편은 주정뱅이가 돼 평생의 짐이 됐다.

다행히 훈 할머니는 한 한국인 사업가에 의해 뒤늦게나마 발견돼 1997년 8월 4일 고국 땅을 다시 밟을 수 있게 됐다. 55년 만의 귀국이었다.

하지만 고향에서도 그는 편히 쉴 수 없었다. 이듬해 5월에는 캄보디아 생활을 청산하고 영구 귀국길에 올랐지만 노령에다 한국말까지 잊어버려 생활에 큰 불편이 따랐다.

결국 훈 할머니는 몇 개월 만에 캄보디아로 돌아갔고 2001년 2월 15일 “유해만은 고향에 묻어 달라”는 유언을 남긴 채 한 맺힌 이 세상과 작별을 고했다.

장환수 기자 zangpab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