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노블리안스]고기정/소버린이 준 교훈

  • 입력 2005년 7월 25일 03시 06분


코멘트
소버린자산운용이 SK㈜ 주식 14.82%를 모두 팔았습니다. 2년 넘게 우리 사회의 관심사였던 이슈 하나가 사라진 것이지요.

기업 지배구조 개선을 위해 배울 점이 있었다는 측면과 투기적 외국 자본의 횡포였다는 측면은 모두 나름대로 탄탄한 논리를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소버린이 SK㈜에서 손을 떼자 우리가 뭘 고민했었는지도 기억하기 어렵다는 느낌입니다.

소버린이 SK㈜ 주식을 매집하자 일부 시민단체는 열악한 기업 지배구조에 경종을 울린 사건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소버린도 거들었습니다. 최태원 회장의 퇴임을 요구하며 소액주주권을 거론했습니다. 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강력한 열의도 보여줬습니다. 마치 재벌 개혁의 투사처럼 행동했지요. 그럴 때마다 주가는 춤을 췄습니다.

재계도 소버린의 등장으로 위기감을 느끼긴 했지만 싫지만은 않았을 겁니다. 투기자본의 공습으로 한국 기업이 통째로 외국에 넘어간다는 불안감을 조성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소버린의 퇴장을 지켜본 시민단체는 어떤 느낌일까요. 또 재계는….

시민단체는 소버린이 있었기에 SK의 지배구조가 개선됐다고 주장할 수 있을 겁니다.

재계는 소버린의 주식 매각은 단기 시세차익을 노린 부도덕한 펀드라는 점을 증명했다고 하겠지요.

소버린은 어떨까요. 보도자료에서 SK의 지배구조 개선 노력에 실망을 느껴 주식을 판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투자이익을 거둘 만큼 거뒀고 이 정도면 이익을 실현할 시점이 됐기 때문에 주식을 팔았다는 게 정답일 겁니다.

우리는 소버린에 너무 많은 가치를 부여하며 자기 식대로 해석했습니다. 시민단체는 재벌개혁의 수단으로, 재계는 경영권 방어의 명분으로 삼았습니다.

그러나 소버린은 펀드일 뿐이었습니다. 돈이 될 만하면 사고 충분히 벌면 파는 펀드 말입니다. 지배구조 운운하는 것 자체가 웃기는 얘기지요.

처음부터 우리는 소버린의 실체를 알고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다만 서로에 대한 공격과 자기 합리화를 위해 소버린에 갖가지 포장을 입혔습니다. 정의의 사도나 흉측한 괴물로 만들었습니다.

우리는 소버린에 놀아났을까요, 아니면 소버린을 갖고 놀았을까요.

고기정 경제부 기자 koh@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