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앰배서더 Really?]전염병 확산 막을 수 있어요

  • 입력 2005년 7월 15일 03시 10분


코멘트
서아프리카의 작은 마을에서 나타난 에이즈와 같은 전염병이 빠른 속도로 전 세계에 퍼지는 배후에는 허브 역할을 한 카사노바들이 있다. 이들은 많은 수의 섹스 파트너들을 통해 전염병 전파의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실제로 ‘에이즈 환자 영순위’로 불리며 초기 에이즈 전파에 엄청난 역할을 했던 인물 듀가스는 허브인 동시에 항공사 승무원으로 이동성이 높았다. 다양한 교통수단의 발달로 쉽게 이동하고 많은 사람을 만나는 현대 사회에서 이런 허브의 위력이 얼마나 큰지를 알 수 있게 해 준다. 따라서 이런 허브를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치료한다면 전염병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상황이 그렇게 단순하지만은 않다. 만약에 비용이나 재료 등의 조건 때문에 전체 인구의 1%만이 전염병 예방 및 치료제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해보자. 어떤 사람들에게 우선적으로 주사를 놓아야 할까? 당연히 카사노바 같은 허브들에게 우선적으로 접종을 해야 효과적으로 전염병의 전파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카사노바를 찾아낼 것인가? 서울역 앞에서 아무나 붙잡고 “당신은 카사노바인가”라고 물어볼 수 없는 노릇 아닌가. 다행히도 최근의 복잡계 연구를 통해 사생활을 침해하지 않고도 허브를 간접적으로 찾아낼 수 있는 방법이 고안됐다. 소위 ‘친구 치료’라는 방법이다. 서울역 앞에서 불특정인을 골라 그에게 치료제를 주되, 그 사람 대신 그의 친구 중 한 사람에게 주사하라고 전달하는 것이다. 이러면 허브는 친구가 많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치료받게 될 확률이 높아지고 결국 허브의 관리가 이뤄지는 셈이 된다.

이런 사실은 꼭 전염병 치료 및 예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염병과 마찬가지로 입소문도 이런 과정을 통해서 퍼진다. 따라서 새 제품의 마케팅을 하고자 할 때 시제품을 아무에게나 마구 나눠줄 것이 아니라, 무작위로 나눠주되 여유분을 줘서 주변 친구에게도 줄 수 있도록 하는 게 좋다. 그러면 입소문의 허브 역할을 해 줄 마당발에게 쉽게 전달될 것이고 최대의 마케팅 효과를 거두게 될 것이다.

정하웅 KAIST 물리학과 교수 hjeong@kaist.ac.kr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