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美문화원 점거 20년…그때 그 73人

  • 입력 2005년 5월 24일 03시 11분


코멘트
미국문화원 점거농성의 주역들이 22일 가족과 함께 광주의 국립 5·18묘지를 찾았다. 미문화원 점거는 우리 사회에 ‘반미’라는 화두를 던진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광주=연합
미국문화원 점거농성의 주역들이 22일 가족과 함께 광주의 국립 5·18묘지를 찾았다. 미문화원 점거는 우리 사회에 ‘반미’라는 화두를 던진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광주=연합
1985년 5월 23일 전국학생총연합(전학련) 소속 서울시내 5개 대학 학생들이 서울 중구 을지로에 있는 미국 문화원 건물을 기습 점거했다.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성균관대 서강대에 다니던 학생 73명은 “미국이 1980년 5월 계엄군의 광주 투입을 묵인 내지 방조했다”고 주장하며 72시간 동안 농성을 벌이면서 미국의 사과와 해명을 요구했다.

세상을 떠들썩하게 한 ‘서울 미문화원 점거농성사건’이 23일로 꼭 20년이 됐다.

이 사건은 미국을 우방국가로만 인식하던 일반 국민에게 ‘반미(反美)’라는 용어를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됐다. 학생운동에 ‘반미 운동’과 ‘점거 농성’이라는 새로운 바람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1985년 5월 서울의 미국문화원에 진입한 대학생들이 창문을 통해 문화원 밖 시민과 취재진을 바라보는 모습. 이들은 5·18민주화운동이 유혈진압된 데 대해 미국의 책임을 따졌다. 동아일보 자료 사진

점거 농성에 참여했던 73명의 학생 중 2, 3학년은 단기형이나 구류 등으로 풀려났으나 주동자급 학생 19명은 구속 기소돼 모두 유죄판결을 받았다.

‘독재 타도’와 ‘미국 반대’를 외쳤던 20대 초반의 대학생들은 20년이 지나 불혹(不惑)의 나이를 넘기면서 사회 각 분야에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다.

신정훈(42) 씨는 2002년 지방선거에서 전남 나주시장에 당선됐고 함운경(42) 씨는 2000년 총선 때 전북 군산에서 출마했으나 떨어졌다. ‘아름다운 가게’의 이강백(42) 사무처장처럼 시민단체에서 일하는 사람도 있다.

박춘원(41) 씨는 한국과 미국의 공인회계사 자격증을 획득한 뒤 미국 시카고대에서 경영학석사(MBA) 학위를 땄고 고려대 삼민투 위원장이던 이정훈(42) 씨는 인기 영어교재의 저자로 출판사업을 하는 중이다.

오태헌(41) 씨는 학교를 자퇴한 뒤 요리사로 일하다 1998년 출가했다. ‘운동권 딱지’가 장애물이 될 것을 우려해 대기업이나 공무원 채용시험에 응시한 경우는 드물었다.

미국에 대한 이들의 인식은 과거와 크게 바뀌지 않았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서울지부 박정훈(40) 사무처장은 “광주학살에 대해 미국은 현재까지 책임 여부를 명백히 밝히지 않고 있다”며 “과거나 현재나 한미 관계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또 이들 중 상당수는 아직도 미국 정부의 ‘위험인물’ 리스트에 올라 있어 미국 입국에 제한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세진 기자 mint4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