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송영언]삼돌이

  • 입력 2005년 5월 9일 18시 24분


코멘트
오영진의 뮤지컬 ‘시집가는 날’이 생각난다. 맹 진사 댁 딸의 혼사(婚事)에 얽힌 얘기다. 이 뮤지컬에 주인공 못지않은 비중으로 등장하는 인물이 있다. ‘삼돌이’다. 맹 진사 내외와 딸 갑분이를 지극 정성으로 모시는 이 집의 머슴이다. ‘삼돌이’는 갑분이가 김 판서 댁에 시집가게 됐다는 소식에 덩실덩실 춤춘다. 하지만 곧 신랑감이 변변치 못하다는 소문을 듣고는 “아이고, 우리 아씨 망했구나”라며 대성통곡을 한다.

▷우리의 옛 생활을 그린 소설이나 영화, 뮤지컬에는 ‘삼돌이’가 많다. 주인마님을 떠받들며 그 품 안에서 평화롭게 사는 남정네를 지칭한다. 얼마 전 나온 ‘마님 되는 법’이란 책의 키워드도 ‘삼돌이’다. 여성이 남성을 다스리며 사는 노하우를 담은 책이다. “우선 좋은 삼돌이를 골라야 한다. 인물은 못생겨도 괜찮지만 거짓말하거나 너무 효자인 삼돌이는 안 된다”는 등의 내용이 들어 있다.

▷한 결혼정보업체가 미혼여성 345명에게 미래 남편에게 가장 기대하는 것이 무엇이냐고 물었더니 51%가 ‘삼돌이형’을 꼽았다고 한다. 높은 연봉이나 좋은 집안보다 집안일을 분담하는 등 외조(外助)를 잘해주는 부담 없는 남자가 더 좋다는 것이다. 미혼 남성 407명 중 34%는 기꺼이 그런 삼돌이 역할을 할 용의가 있다고 대답했다. 성공한 여성이 늘어난 데다 그만큼 성(性)역할 구분도 모호해진 탓일 게다.

▷“조건 좋은 남자를 만나 평생을 대감처럼 받들고 살기보다 조건은 다소 떨어지더라도 삼돌이 같은 사람을 만나 마님처럼 살고 싶다”는 한 미혼여성의 말이 재미있다. 하기야 대감 같은 사람을 만나 삼돌이로 훈련시켜 살 수 있다면 그 편이 나을 듯도 싶다. ‘조강지처(糟糠之妻)’란 말이 있다. 지게미와 쌀겨를 먹으며 남편을 위해 온갖 고생을 다하는 아내를 가리키는 말이다. 하지만 이제는 ‘조강지부(糟糠之夫)’라는 말이 나올지도 모르겠다. ‘시집가는 날’은 일명(一名) ‘삼돌이를 만나는 날’이고.

송영언 논설위원 youngeo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