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교과서 왜곡]22일 日역사인식 주제 학술대회

  • 입력 2005년 4월 21일 18시 50분


코멘트
국내 48개 역사관련 학회 모임인 ‘역사연구단체협의회’는 22일 서울 신문로 서울역사박물관 강당에서 ‘일본 중학 교과서의 역사 서술과 역사인식’을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날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 문제의 배경과 특징’이라는 총론격 발표를 맡은 허동현 경희대 교수(사진)는 올해 후소샤(扶桑社) 교과서의 문부과학성 검정 통과는 1955년 일본 자민당 출범 이래 ‘4번째 교과서 공격’이라고 규정했다.

1차 공격은 1955년 평화헌법 개헌을 당헌으로 내걸고 집권에 성공한 자민당이 모든 역사교과서를 불합격 처리하면서 ‘교과서 조사관 제도’를 만들어 검정을 강화한 것이다. 이는 이에나가 사부로(家永三郞) 도쿄교육대 교수가 제기한 검정 불합격처분 취소 소송에서 승소해 와해됐다.

2차 공격은 문부성에서 ‘침략’을 ‘진출’로 고치도록 지시한 것. 이는 1982년 교과서 파동이라는 외교문제로 비화했고, 한국과 중국의 압력에 일본정부가 굴복해 ‘근린제국 조항’을 내놓으면서 패퇴했다.

3차 공격은 자민당 의원이 중심이 된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새역모)에서 만든 후소샤 교과서의 2001년 검정 통과다. 이는 일본 시민단체의 저지운동에 부딪혀 극히 저조한 채택률을 보이며 역시 좌절됐다.

허 교수는 “50년간 4차례에 걸친 교과서 공격은 미군정에 의해 구부려지기 전 일본의 원형으로 돌아가려는 ‘형상기억합금’적 현상”이라며 “이는 역사의 기억을 둘러싼 일본 내 내전인 동시에 한국과 중국 등 기억을 공유한 국가들과의 국제전”이라고 진단했다.

허 교수는 특히 4차 공격은 과거와 두 가지 차이를 보인다고 지적했다. 첫째는 과거 ‘새역모’의 배후를 봐주던 산케이(産經), 요미우리(讀賣)신문 같은 대형 언론매체와 미쓰비시(三菱)상사 같은 재벌, 심지어 일본 정부까지 드러내놓고 지원에 나섰다는 점이다. 둘째는 이 전쟁에서 일본과 한국 시민사회간의 연대를 차단하기 위해 독도 문제라는 ‘민족주의 고압전류’를 깔아놓고 역사교과서 문제를 동시에 제기하는 전략을 구사한 점이다.

한편 발표문에서 일본 교과서의 고대사 문제를 분석한 연민수 부산대 교수는 △일본문화의 기원을 기원전 3∼4세기 야요이 문화가 아니라 1만 년 전의 조몬 문화로 앞당긴 점 △7세기말에야 등장하는 일본이란 국명을 왜(倭) 대신 고대사 전역에 사용한 점 △일본의 율령 제정(701년)이 당과 신라의 것을 모방했음에도 독자성을 지녔다고 주장한 점 등을 비판했다.

근현대사 문제를 분석한 박찬승 한양대 교수는 △2001년판에서 태평양전쟁의 원인을 일본의 근대화 자체의 결함에서 유래한다고 보았던 마루야마 마사오(丸山眞男)와 오쓰카 히사오(大塚久雄)의 사상을 소개한 내용의 삭제 △미국에 대한 호감을 심어주기 위한 칼럼 2편을 추가하는 등 친미적 내용의 강화 △일본 평화헌법에 대한 부정적 서술 등의 문제를 제기했다.

권재현 기자 confetti@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