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세상]현장에서/무선인터넷 규격 현실과 이상 사이

  • 입력 2005년 4월 11일 16시 23분


코멘트
“이론상으로는 가능하죠.”

1일부터 국내에서 시행된 무선인터넷 규격 ‘위피’(WIPI) 덕분에 곧 다양한 콘텐츠와 프로그램이 쏟아져 나오지 않겠느냐는 질문에 대한 한 이동통신업체 엔지니어의 대답이다.

‘위피’는 ‘상호운영을 위한 무선인터넷 규격(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으로 국내에서 개발됐다.

지금까지 모바일 콘텐츠 개발업체는 SK텔레콤, KTF, LG텔레콤 등 국내 이동통신 3사를 위한 콘텐츠를 모두 따로 만들어야 했다. 각 사가 채택한 규격이 달랐기 때문이다. 그러나 ‘위피’가 도입되면 이런 번거로움이 사라진다. 한 가지 콘텐츠만 개발하면 3사에서 모두 쓸 수 있다.

여기까지는 이론이다. 실제 현실은 좀 다르다.

콘텐츠 개발업체는 여전히 번거롭다. 이동통신사마다 현재 쓰고 있는 이동통신망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위피’ 규격에 맞는 콘텐츠라도 별도의 작업을 거쳐야 한다. 여전히 덧손질이 필요한 것이다.

또 SK텔레콤용 ‘SK-VM’이나 KTF용 ‘브루’ 등 위피 이전 규격에 맞는 제품 개발도 계속해야 한다. 기존 규격을 쓰는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인구가 아직 많기 때문이다.

‘위피’는 무선인터넷 콘텐츠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드는 비용을 줄여 사용자에게 더 많은 콘텐츠와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미 SK텔레콤이 작년 하반기부터 대부분의 휴대전화 단말기에 ‘위피’를 적용하고 있고 KTF와 LG텔레콤도 ‘위피’ 규격을 채택한 휴대전화를 내놓고 있다. ‘위피’ 사용자가 조금씩 늘고 있다는 증거다.

최근 영국에서 열린 국제 모바일 회의에 ‘위피’ 기술이 초청받을 정도로 밖에서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위피’를 발전시켜야 한국은 진정한 휴대전화 강국이 된다. 한국의 단말기 제조기술은 세계 수준이지만 휴대전화용 콘텐츠는 아직 멀었다. 업계와 정부가 힘을 합쳐 적극적으로 ‘위피’ 보급 속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을 찾아야 할 시점이다.

그래야 한국은 모바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에서 앞서게 된다. 그것이 사용자와 기업이 ‘윈윈’하는 길이다.

김상훈 기자 sanhki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