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포로 실태는]北억류 4만1971명… 501명 생존 확인

  • 입력 2003년 12월 24일 18시 55분


코멘트
정부가 파악한 생존 국군포로는 24일 귀국한 전용일씨를 포함해 501명으로, 이 가운데 한국에 가족이 있는 것이 확인된 포로는 80여명이다. 1994년 이후 국군포로 34명이 고국의 품에 돌아왔다.

국방부 관계자 및 ‘국군포로 현황자료’에 따르면 6·25전쟁 이후 북한에 억류된 것으로 추정되는 국군포로는 4만1971명이다. 이 가운데 생사가 확인된 것은 1187명으로 생존자는 501명, 사망자는 507명, 행방불명자는 179명인 것으로 파악됐다. 국방부 관계자는 “이 숫자는 귀국한 국군포로 및 탈북자의 진술을 취합해 파악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2000년 남북정상회담 이후 8차례 열린 이산가족 상봉행사에서 남측 가족이 만난 북한체류 국군포로는 모두 6명이다. 올 9월 열린 8차 남북이산가족 행사에선 6·25전쟁 때 전사 처리됐던 남소열, 한영옥씨가 반세기 만에 남측 가족들과 감격적인 상봉을 하기도 했다.

국군포로는 94년 조창호(趙昌浩) 소위(6·25전쟁 당시 계급)가 처음으로 북한을 탈출한 이래 양순용 장무환씨 등이 잇따라 귀환, 전용일씨를 포함해 34명이 귀환했다.

정부는 2000년 이후 북한 당국에 국군포로 문제를 여러 차례 제기, 지난해 9월 4차 남북적십자회담에서 국군포로 및 납북자 생사확인에 합의했으나 그 후 추가협상이 무산돼 진척이 없는 상태다.

탈북자 지원단체는 한국 정부의 ‘의지 부족’을 문제 삼고 있다. 정부의 태도는 미국이 6·25전쟁 당시 숨진 미군의 유해 발굴을 위해 거액을 아끼지 않고 있고, 일본 정부도 납북자 귀환을 북-일 수교의 전제조건으로 내세우고 있는 것과는 너무 대조적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남북간 합의내용도 ‘지난 전쟁시기 생사를 알 수 없게 된 자들의 생사·주소확인 문제를 협의·해결한다’는 애매한 표현에 그쳤다. 국방부는 진척이 더딘 것은 “북측이 국군포로의 존재 자체를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고 설명한다.

다른 정부 관계자는 “국군포로들은 50년간 북한에서 살면서 가족을 갖고 있다”며 “본인의 의사와 달리 송환될 경우엔 또 다른 ‘이산의 아픔’이 생길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승련기자 srki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